
산업 특화 AI 기업 마키나락스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정예팀으로 선정됐다. 마키나락스는 업스테이지 컨소시엄의 산업 확산 파트너로 참여해 제조 및 국방 분야 특화 AI 에이전트 개발과 현장 적용을 담당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가 산업과 공공 분야의 AI 적용 가속화를 목표로 하는 정부 전략 사업이다. 총 15개 팀이 지원한 가운데 서면 및 발표 평가를 거쳐 5개 팀이 정예팀으로 선정됐다. 업스테이지 컨소시엄은 AI 네이티브 기술 기반 스타트업 중심으로 구성된 유일한 팀으로, 대기업 주도 컨소시엄과 차별화된 구성을 보인다.
마키나락스는 제조 분야에서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의 제조 현장 특화 AI 에이전트를 개발할 계획이다. 국내 2천개 이상의 중견 제조기업이 약 494조원의 매출을 창출하고 있지만, AI 도입률은 0.1% 수준에 머물고 있는 상황이다. 회사는 MES, ERP 등 산업용 솔루션과 연동해 공정관리, 품질분석, 작업지시 자동화 등 핵심 현장 업무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반도체, 전자, 중공업 등 산업군별 특화 모델을 세분화해 적용하고, 중소기업을 위한 SaaS형 경량 서비스와 일본 제조 환경 최적화 현지화 모델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국방 분야에서는 폐쇄망 기반의 비작전 실험과제부터 시작해 국방 특화 AI 에이전트를 시범 적용한다. 초기에는 보고서 요약, 전술 문헌 해석, 교육 자료 생성 등 반복 업무 자동화를 중심으로 도입을 추진한다. 이후 행정·군수·인사 등 실무 부서로 확산해나갈 예정이다.
궁극적으로는 지휘통제(C4I)와 무기체계 운용까지 확대해 실시간 요약, 위협 인식, 정비 예측 등의 임무 지원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 국방 전용 LLM 환경과 폐쇄망용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구축해 방산 분야 특화 모델을 지속 확산할 계획이다.
마키나락스는 제조·국방 환경의 보안과 운영 독립성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폐쇄망 기반 LLM 운영 환경을 제공한다. 각 기관의 내부 데이터 기반 파인튜닝과 산업별 표준 프롬프트 템플릿 연계 경량형 모델 배포 전략을 현장에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윤성호 마키나락스 대표는 “AI 기술의 가치는 산업 현장을 이해하고 작동해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때 극대화된다”며 “제조·국방 등 복잡한 산업에서 검증된 기술을 기반으로 우리나라가 피지컬 AI 시대의 기술을 주도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