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생성형 AI 앱 시장 19억 달러 돌파, 아시아 80% 성장 이끌어

(c)센서타워
생성형 AI 시장, 반기 기준 67% 성장률 지속

센서타워(Sensor Tower)가 발표한 ‘2025년 AI 앱 현황 리포트’에 따르면, 생성형 AI 앱의 인앱구매(IAP) 수익이 2025년 상반기 19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2024년 하반기 대비 100% 증가한 수치로, 시장 성장세가 가속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다운로드 수는 17억 건으로 직전 반기 대비 67% 증가했으며, 이는 2023년 상반기 이후 최고 성장률이다.

해당 성장률은 성숙 단계에 접어든 대부분의 모바일 앱 카테고리와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를 AI 기술의 실용화 단계 진입과 사용자 접근성 개선의 결과로 분석하고 있다.

지역별 분석에서 가장 주목할 변화는 아시아 시장의 급부상이다. 2024년 하반기 대비 2025년 상반기 아시아 지역의 생성형 AI 앱 다운로드는 80% 증가했다. 이는 유럽(51%), 북미(39%)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다.

특히 DeepSeek의 성공 사례는 자본 효율성 관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상대적으로 적은 개발 비용으로 ChatGPT 수준의 글로벌 확산을 달성한 것은 아시아 지역 AI 스타트업들의 기술-자본 효율성을 입증한 사례로 평가된다.

수익 구조 측면에서는 여전히 북미 시장의 우위가 뚜렷하다. 북미 지역 IAP 수익은 7억 6,200만 달러로 전체 수익의 약 40%를 차지한다. 이는 지역별 구매력 격차와 함께 프리미엄 서비스에 대한 지불 의향(willingness to pay)의 차이를 반영한다.

이러한 구조는 투자 전략 수립 시 시장 진입(아시아)과 수익화(북미/서구) 관점을 분리해서 접근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AI 기능을 도입한 앱 카테고리 중 영양 및 식단 분야가 174%의 최고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는 AI 기반 칼로리 인식, 영양 성분 분석 등 즉시적 효용을 제공하는 기능들이 사용자 채택률을 높이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시험 준비 및 과외 앱(138% 성장), 번역 앱(103% 성장) 등도 높은 성장률을 보였으나, 이들 분야는 ChatGPT 등 범용 AI 어시스턴트와의 기능 중복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ChatGPT 프롬프트 분석 결과 글쓰기 및 편집, 교육 및 강의, 학습 및 연구가 주요 사용 사례로 나타나, 해당 분야 전문 앱들의 차별화 전략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ChatGPT의 사용 패턴 분석 결과, 월 평균 사용일수가 13.2일로 X(13.7일), Reddit(12.2일)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이는 AI 어시스턴트가 일상적 도구로 정착되면서 구독 기반 수익 모델의 안정성을 뒷받침하는 지표로 해석된다.

특히 주목할 점은 ChatGPT 사용자 중 미국 기준 15.4%가 모바일 앱과 웹을 동시 사용한다는 점이다. 이는 Threads(2.3%), Temu(8.2%)보다 현저히 높은 크로스 플랫폼 참여율로, 사용자 락인(lock-in) 효과와 LTV(고객 생애 가치) 증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된다.

생성형 AI 브랜드들의 디지털 광고 지출은 2025년 2분기 기준 2억 1,900만 달러로 2024년 2분기 대비 121% 증가했다. 특히 OpenAI의 본격적인 광고 캠페인 시작이 시장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Adobe, Microsoft, Google, Meta 등 기존 테크 기업들의 AI 제품 마케팅 투자도 급증했다.

더욱 주목할 점은 AI 관련 메시징을 포함한 전체 디지털 광고 시장의 확장이다. 미국 시장 기준 AI 관련 광고 소재의 노출 수는 2023년 1-5월 90억 건에서 2025년 동기 457억 건으로 5배 이상 증가했다.

기존 벤처캐피털들의 북미-유럽 중심 투자에서 벗어나 아시아 시장에 대한 투자 비중 확대가 필요하다. 특히 인도, 동남아시아 시장은 사용자 기반 확장 측면에서 높은 잠재력을 보이고 있다.

범용 AI 어시스턴트 시장이 ChatGPT, Google Gemini, Microsoft Copilot 등 거대 기술 기업들에 의해 과점화되는 상황에서, 특정 산업군이나 사용 사례에 특화된 솔루션들이 차별화 포인트가 될 가능성이 높다. 의료 진단, 법무 검토, 금융 분석 등 전문성과 정확성이 중요한 분야가 유력한 투자 대상이다.

앱 스토어 최적화(ASO) 관점에서 AI 관련 키워드 추가 시 단기적으로 다운로드 증가율 중앙값이 2.9%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는 일시적 효과에 그치므로, 실질적 AI 기능 개발 역량이 장기적 경쟁우위의 핵심 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의 급성장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구조적 리스크가 존재한다. 첫째, 기술 발전 속도로 인한 조기 진부화 위험이다. 둘째, 각국 정부의 AI 규제 강화 움직임이다. 셋째, 거대 기술 기업들의 시장 지배력 강화로 인한 신규 진입 장벽 상승이다.

따라서 투자 결정 시에는 기술적 차별성, 규제 대응 능력, 그리고 기존 플레이어와의 경쟁 구조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현재 AI 앱 시장은 초기 성장기에서 성숙기로의 전환점에 위치해 있다. 향후 유니콘급 기업의 등장은 단순한 기술적 우수성보다는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과 시장 적합성을 확보한 기업들에서 나올 가능성이 높다.

기자 /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전달하며, 다양한 세계와 소통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 I want to get to know and connect with the diverse world of start-ups, as well as discover their stories and tell them.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글로벌

AI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문화의 전략적 자산이다

스타트업

스티비, 이메일 마케팅 AI 트렌드 사이트 오픈…”담당자 68.5% AI 활용 중”

스타트업

와들, 아가방앤컴퍼니에 AI 쇼핑 상담 솔루션 ‘젠투’ 공급

트렌드

2025년 CRM 핵심 키워드는 ‘맞춤형·투명성·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