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업준비생들의 사교육비 부담이 4년 새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청년들의 경제적 부담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잡코리아 콘텐츠LAB이 대학 졸업 취업준비생 4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취업을 위한 사교육을 받은 응답자는 42.9%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 같은 조사의 31.6%보다 11.3%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취업사교육을 받은 취준생들은 월 평균 38만원, 연간 약 455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4년 전 연간 218만원과 비교하면 109% 증가한 수준이다. 잡코리아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채용 환경 변화와 물가 상승이 취준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키운 원인으로 분석했다.
취업사교육 항목 중에서는 ‘전공 자격증 취득’이 64.9%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영어 점수와 응시료’가 56.7%로 그 뒤를 이었으며, 비전공분야 자격증(37%), IT·컴퓨터 활용 전문지식 습득(32.7%), 취업컨설팅(17.8%) 순으로 나타났다.
한 취준생은 “자격증과 영어 점수가 채용 시 우대사항으로 명시된 경우가 많아 합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스펙을 확보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높은 취업준비 비용으로 인한 청년들의 경제적 어려움도 심화되고 있다. 설문 참여자의 71.1%가 취업준비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호소했으며, 졸업 후 구직활동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는 취준생은 73.8%에 달했다.
정부는 청년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취업 지원 서비스, 취업 인센티브, 자격증 응시료 지원, 면접 수당 등 다양한 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