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연봉보다 도덕성이 우선”…MZ세대 직장 선택 기준 달라졌다

MZ세대 직장인들이 높은 연봉보다 회사의 도덕성과 공정성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가 20~40대 직장인 1,252명을 대상으로 ‘연봉이 높아도 다니고 싶지 않은 회사’에 대해 조사한 결과, 34.5%가 ‘부도덕한 관리자나 임원이 있는 회사’를 꼽았다고 11일 발표했다.

특히 이같이 응답한 비율은 40대 이상(30.8%)보다 20대(36.4%)와 30대(34.5%) 직장인이 더 높게 나타났다. 공정을 중요한 가치로 여기는 MZ세대에게 불공정한 임원이나 상식에 어긋나는 관리자는 참을 수 없는 존재라는 분석이다.

다음으로는 ‘나와 맞지 않는 회사의 운영 방식 및 가치관'(33.9%)이 꼽혔다. 젊은 세대가 직장을 선택할 때 ‘먹고 사는 문제’보다 ‘일하는 방식’이나 ‘가치관의 공유’를 더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이밖에 공정하지 않은 보상 체계(30.6%), 방향성 없는 업무 지시(25.6%), 무기력한 사내 분위기(15.4%) 등도 이직을 고민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조사됐다.

‘직장 내 추구 가치’를 묻는 질문에는 전 세대 공통으로 ‘워라밸(Work-Life Balance)'(50.3%)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꼽았다. 특히 2030세대 절반 이상이 워라밸을 최우선으로 여긴다고 답했다.

MZ세대 직장인들은 ‘회사에 다닌다’는 개념보다 ‘삶의 균형 속에서 일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분석이다.

또한 직장인들은 ‘인정·보상'(44.6%)과 ‘성장 가능성'(35.3%)도 중요한 가치로 들었다. 40대 이상은 보상을 우선하는 반면, 상대적으로 젊은 층은 성장 가능성에 더 큰 비중을 뒀다.

‘업무 몰입을 위해 가장 필요한 조건’으로는 ‘명확한 목적과 방향 제시'(49.8%)가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개인 역량에 맞는 직무와 업무량 부여(48.2%), 성과에 대한 피드백과 인정(38.2%)이 뒤를 이었다.

‘이 일을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공감과 설득은 물론 개인에게 맞는 역할을 부여하는 조직에서 업무 몰입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는 의미다.

각자가 추구하는 가치에 부합하는 회사를 어떻게 알아보는지에 대해서는 과반수(51.8%)가 ‘입사 전까지는 알 수 없다’고 응답했다. 이에 따라 직장인들은 업계 지인이나 평판 플랫폼을 참고하거나(42.0%) 면접 분위기를 통해 유추(35.3%)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답했다.

플래텀 에디터 / 스타트업 소식을 가감 없이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댓글

댓글 남기기


관련 기사

스타트업

리멤버, 누적 스카웃 제안 1000만건 돌파

스타트업

클라썸, AI 기반 HR 솔루션 ‘텔타’ 런칭

트렌드

벤처 재직자 62% 근무환경 만족하지만…급여 불만 1위

스타트업

원티드랩, AI 기반 ‘채용 에이전트’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