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라이드플럭스가 서울 진출에 나섰다. 제주와 세종, 부산에 이어 서울 서대문구에서도 자율주행 대중교통버스 서비스를 개시하며 전국 서비스망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3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서대문구 자율주행버스는 쏠라티 제작 소형버스 2대로 구성됐다. 각 차량은 최대 12명까지 탑승 가능하며, 이용자 안전을 위해 입석은 제한된다. 일반 마을버스와 동일하게 정해진 정류소에서 승하차하는 고정노선형으로 운영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운행 구간은 서대문구청에서 경의중앙선 가좌역까지 약 5.9km로, 서대문문화체육회관과 백련시장, 가재울뉴타운 등 생활 밀착형 거점을 거쳐간다. 평일 오전 9시20분부터 오후 5시30분까지 25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초기에는 무료로 제공된다. 이후 일반 마을버스 요금과 동일한 수준으로 유료 전환할 예정이다.

안전성 확보를 위한 첨단 기술도 대폭 적용됐다. 버스에는 8개의 카메라와 5개의 라이다 센서, 1개의 레이더가 탑재돼 주변 차량과 보행자, 사물의 움직임을 360도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아울러 서울시 관제센터와 연동해 버스의 실시간 위치와 자율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지능형교통체계를 통해 신호등 정보 등 교통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받아 더욱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안전요원도 함께 탑승한다. 이는 주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돌발 상황에 즉시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라이드플럭스는 이번 서대문구 서비스 개시로 제주, 세종, 부산에 이어 서울까지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게 됐다. 연내 수도권과 주요 지방 도시를 포함한 다양한 전국 거점으로 추가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현재 서울 상암에서는 국내 유일하게 운전석에 안전관리자가 탑승하지 않는 완전무인자율주행차 시험 운행을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국내 자율주행 업계의 무인화 전환을 선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박중희 라이드플럭스 대표는 “이번 서대문구 자율주행버스 서비스를 통해 서울 시민의 일상 속에서 자율주행이 실제 교통수단으로 자리잡는 중요한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라이드플럭스는 전국 주요 도시에서 더 많은 시민이 자율주행을 경험할 수 있도록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