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카카오모빌리티, 충북 청주에 로봇 주차 서비스 도입

주차로봇 ‘파키’로 입출차 자동화…건물 입주 기관 직원 대상 시범 운영

카카오모빌리티가 자회사 케이엠파크, HL로보틱스와 함께 충북 청주에 로봇을 활용한 주차 서비스를 시작했다.

카카오모빌리티에 따르면, 충북도청, 충북과학기술혁신원과 협력해 충북 청주시 충북콘텐츠기업지원센터 지하 주차장에 로봇 주차 설비를 설치했다. 현재 해당 건물 입주 기관 직원을 대상으로 사전 신청을 통해 이용할 수 있으며, 향후 이용 대상 확대를 검토할 예정이다.

이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주차장 이용객은 차량 번호판을 인식시킨 뒤 로봇발레 서비스 구역의 지정된 위치에 차량을 정차하고 하차한다. 키오스크로 입차 신청을 하면 HL로보틱스의 주차로봇 ‘파키(Parkie)’가 차량을 주차구역으로 이동시킨다.

출차 시에는 입차 시 받은 카카오톡 알림톡 링크로 요청하면 파키가 차량을 다시 지정 구역으로 이동시킨다. 차량은 출구 방향으로 정렬되며, 알림톡 수신 후 키오스크 확인을 거쳐 출차할 수 있다. 회사 측은 기술적으로 스마트폰을 통한 입출차도 가능하도록 구현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5월 HL로보틱스와 ‘자율주행 주차로봇 서비스 사업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현재 주차로봇은 현행법상 ‘기계식 주차장’ 시설로 분류되어 주차장 내 별도 구역 설치가 필요하다. 회사 측은 법 개정 논의가 진행 중이며, 이후 서비스가 확산되면 주차 편의성 개선과 공간 활용 효율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 로봇발레 서비스 관계자는 “통합교통서비스(MaaS) 플랫폼으로서 쌓아온 역량을 활용했다”며 “모빌리티 관련 기술이 실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실내 측위 기술인 ‘FIN(Fused Indoor localizatioN)’을 상용화했으며, 복수 주차장 통합 운영 시스템 UPC(Universal Parking Controller) 등을 보유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디리야 프로젝트’에 주차 솔루션 제공을 위한 MOU를 체결한 바 있다.

HL로보틱스의 주차로봇 ‘파키’는 차량 하부로 진입해 차체를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CES 2024와 FIX 2025에서 ‘최고 혁신상’을 수상했다.

플래텀 에디터 / 스타트업 소식을 가감 없이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카카오모빌리티, 자율주행 스타트업과 협력 체계 본격 구축

스타트업

카카오모빌리티, 모빌리티 구독 서비스 ‘카카오 T 멤버스’ 정식 출시

스타트업

카카오내비, AI로 ‘불편한 길’ 학습해 경로 개선…운전자 순응률 6.65%p 상승

트렌드

기다림의 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