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뤼튼AX, AI 전환 실제 성과 분석한 ‘AX 리포트’ 발간

AI 전환(AX) 전문 기업 ‘뤼튼AX’가 업무용 AI 에이전트 도입 후 뤼튼테크놀로지스(이하 ‘뤼튼’)의 실제 성과를 정리한 ‘AX 리포트 2025’를 15일 공개했다. 

이번 리포트에서는 뤼튼이 사내 업무에 활용 중인 고객 상담(고객 문의 응답, 환불, 재배송 자동 처리), 재무(회계와 급여 등 재무 전반 자동화), 코드 작성을 자동화해주는 프론트엔드 개발과 백엔드 개발 등 4개 분야 AI 에이전트가 창출한 AI 전환 효과를 분석했다. 뤼튼AX는 AI 에이전트 도입 효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뤼튼 AI 생산성 지수’라는 독자 지표도 개발했다. 이를 통해 AI 에이전트의 생산성 혁신 정도를 더욱 정밀하게 측정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고객 상담 에이전트를 활용함으로써 뤼튼 내 해당 업무의 총 노동 시간은 73% 단축됐으며, 생산성은 35% 증가했다. 고객 상담 에이전트는 FAQ 및 사내 정책 등을 학습해 양식에 맞게 자동으로 답변을 제공한다. 고객 내부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추가 학습하며 자가발전하고,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검색증강생성) 연계 작업을 통해 자유도 높은 모든 고객 문의에 자동으로 대응한다. 또한 단순 응답을 넘어, 실제 처리가 필요한 업무(환불, 재배송, 예약 등)를 시스템과 연동해 자동 실행한다.

 재무 에이전트의 경우, 제품의 수령 확인부터 송장 검토와 지급 및 재무제표 작성까지 자동 수행함으로써 이 분야 업무 생산성을 21% 증가시켰고, 노동 시간을 40% 감소시켰다. 그리고 프론트엔드 개발 에이전트(AI가 디자인을 판독해 UI 코드와 AP 연동까지 일괄 자동화), 백엔드 개발 에이전트(자연어 요구만으로 백엔드 API/DB를 설계하고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의 경우 각각 업무 생산성을 각각 15%, 28% 향상시켰고, 근로시간을 28%, 55% 감축시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뤼튼AX 박민준 대표는 “AI 전환을 고민하는 기업/기관들에게 실제 생산성 효과를 알리기 위해 이번 AX 리포트를 발간하게 됐다”며 “AX 시대에 파트너들의 비즈니스 성공을 돕는 동반자로서 역할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뤼튼테크놀로지스는 앞서 사회 전 분야의 AI 전환을 위해 사내독립기업(CIC, Company in Company) 뤼튼AX를 설립한 바 있다.

플래텀 에디터 / 스타트업 소식을 가감 없이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이벤트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AI 전환 위원회’ 공식 출범

스타트업

뤼튼, ‘AX CIC’ 설립… AI 전환 사업 본격 추진

스타트업

뤼튼-LG AI연구원, 엑사원 모델로 ‘AI 역량 강화 프로젝트’ 협력

스타트업

포티투마루, 정부·국방·지자체 AI 전환 동시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