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원티드랩, AI 기반 ‘채용 에이전트’ 출시

HR 테크 기업 원티드랩이 LLM(대규모 언어 모델) 기반의 ‘채용 에이전트’를 출시했다.

이번 서비스는 기업의 채용 과정 개선을 목표로 개발됐다. 기업들은 적합한 인재를 찾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학력·경력·직급·회사 등 다양한 조건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 기존 검색 방식으로는 후보자의 잠재력이나 소프트 스킬을 평가하기 어려웠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채용 에이전트는 복잡한 필터 설정 없이 자연어로 조건을 입력하면 AI가 자동으로 인재를 탐색하고 평가·분석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채용 담당자는 복잡한 검색 문법이나 필터 조합 대신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원하는 인재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액트 경험 3년 이상, 타입스크립트 가능,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뛰어나며 새로운 기술 학습에 적극적인 프론트엔드 개발자”라고 입력하면 AI가 조건을 이해하고 후보자를 탐색한다.

서비스는 두 가지 탐색 방식을 제공한다. 기본 탐색은 후보자를 빠르고 폭넓게 검색하도록 지원한다. 고급 탐색은 AI가 후보자의 역량 및 경험을 판단해 적합한 인재를 제시하고, 추천 사유를 상세하게 보여준다.

AI는 경력이나 기술 조건 외에도 자기소개서와 프로젝트 경험 같은 정성적 데이터를 분석해 후보자의 잠재 역량을 평가한다. 검색 과정은 대화형으로 진행되며, 사용자는 AI가 생성한 조건과 필터를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다.

원티드랩은 이를 통해 채용 담당자가 탐색과 초기 매칭 업무를 줄이고, 후보자 관계 구축, 인터뷰 심화, 인재 설득 등에 집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황리건 원티드랩 플랫폼 총괄이사는 “자사의 AI 에이전트 기술력을 바탕으로 HR 분야의 AI 에이전트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인사담당자의 생산성을 높이고 기업의 인재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트렌드

AI 모델, 단 250개 문서로 해킹 가능

스타트업

채용 플랫폼 그룹바이, 연봉진단 서비스 론칭

트렌드

2025 하반기 공채 자소서, ‘직무 역량’ 문항이 86% 최다

스타트업

트릴리언랩스, 700억 파라미터 언어모델 ‘트리-70B’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