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엔피, 명상 앱 ‘무아’ 업데이트 버전 론칭…감정추론 AI 적용

XR(확장현실) 콘텐츠 기업 엔피가 XR 명상 앱 ‘무아(MUA)’에 감정추론 AI를 도입한 업데이트 버전을 출시했다.

이번 업데이트는 카이스트 뇌인지과학과 및 명상과학연구센터와 공동 개발한 감정추론 알고리즘 ‘MIND-C AI’를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무아는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시간 감정 상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개인화된 명상 콘텐츠를 자동 추천한다.

기존 버전은 사용자가 자신의 감정을 수동으로 선택했으나,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무아는 갤럭시 워치에서 측정된 생체 데이터를 활용한다. 갤럭시 워치로 측정된 심박수, 심박 변이도, 산소포화도 등을 이용해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고 XR 헤드셋을 통해 명상 콘텐츠를 제공한다. 명상 전후의 마음 상태 변화도 함께 확인 가능하다.

무아는 XR, 모바일, 센서(워치) 세 가지 플랫폼으로 구성되며, 메타 퀘스트에 최적화된 XR 명상 외에도 안드로이드 모바일 앱에서는 ‘미리 보기’ 기능을 제공한다. 현재 안드로이드 기반 기기를 지원하며, 추후 iOS 버전도 출시 예정이다. 향후 갤럭시 XR, 애플 비전프로 등 플랫폼 확장 또한 검토 중이다.

‘MIND-C AI’는 심리학자 제임스 러셀의 이차원 감정모델을 기반으로, 인간의 감정을 196개로 세분화해 분석의 기준으로 삼는다. 이 감정모델은 개인별 생체 데이터와 결합되며, 누적된 무아 사용자들의 이용 패턴 데이터가 반영되었다.

무아는 ‘2025 추계 홍콩전자전’, ‘MVEX 2025’ 등 국내외 전시에 참가해 웰니스 분야 관계자들에게 소개되었다.

이번 업데이트와 함께 무아는 구독 기반 유료 서비스로 전환된다. 사용자는 앱 설치 후 일정 시간 동안 무료 체험을 할 수 있으며, ‘가이드 영상’을 통해 다양한 명상 콘텐츠를 미리 살펴볼 수 있다.

엔피는 내년 초부터 오케스트라 사운드, 컬러 테라피, 동화 등 다양한 테마를 접목한 명상 콘텐츠를 추가할 계획이다.

엔피 백승업 대표는 “무아는 생체 데이터와 감정을 분석하는 기술에 명상 경험을 결합한 플랫폼”이라며, “기술과 콘텐츠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웰니스 시장에서 성장 가능성을 보여줄 것”이라고 전했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올림플래닛, XR 기술로 코스닥 입성 도전

스타트업 이벤트

올림플래닛, XR 시대 새로운 크리에이터 경제 모델 제시

스타트업

올림플래닛, ‘2024 대한민국 ICT대상’서 과기부 장관 표창 수상

트렌드

메타, 서울대학교와 ‘XR허브 코리아’ 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