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즈니스 네트워크 서비스 ‘리멤버’가 직장인 1,03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정년 연장 인식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74%가 정년 연장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2030 청년 세대의 찬성률이 높게 나타났다. 50대(77.9%)와 60대(80.8%)뿐만 아니라 20대(67.9%)와 30대(70.4%)에서도 과반수가 정년 연장에 찬성했다. 이는 정년 연장이 기성세대만의 이슈가 아닌, 청년 세대의 미래와 직결된 과제로 인식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적인 정년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60.2%가 ‘만 63~65세’를 꼽았다. 다만, 60대 이상 응답자의 30.2%는 ‘만 66~69세’를 적절한 정년으로 선택해 다른 세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연령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년 연장을 원하는 주된 이유는 ‘미래 경제적 불안감’이었다. ‘노후 생활 안정(39.0%)’과 ‘국민연금 수급까지의 소득 공백 해소(17.8%)’가 주된 이유로 꼽혔다. 반면 60대 이상은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 활용(29.7%)’을 1순위로 꼽아 경제적 이유 외에도 사회적 기여 욕구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정년 연장 실행을 위한 선결 과제에 대해서는 세대별로 의견 차이를 보였다. 20대는 ‘성과/직무 중심의 임금 체계 개편'(28.6%)을 가장 중요하게 꼽았으며, 40대(27.2%)와 50대(27.4%)는 ‘고령 인력의 생산성 유지를 위한 재교육’을 1순위로 선택해 생산성 저하 우려에 대한 대책을 강조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