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네이버-서울대병원, 의료 특화 LLM ‘Kmed.ai’ 공개… 의사국가고시 최고점 기록

네이버와 서울대학교병원이 28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열린 ‘메디컬 AGI(범용인공지능) 행사’에서 의료 특화 대규모언어모델(LLM) ‘Kmed.ai’를 공개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해진 네이버 GIO(글로벌투자책임자), 최수연 네이버 대표, 김영태 서울대병원장을 비롯해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형훈 보건복지부 제2차관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양측이 협력해 개발한 ‘Kmed.ai’는 한국어 기반의 의료 특화 LLM으로, 임상 데이터를 분석해 의료진의 판단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해당 모델은 2025년 의사국가고시(KMLE)에서 평균 96.4점을 기록하며 의료 전문성과 성능을 입증했다.

‘Kmed.ai’는 국가 AI 허브에 등록된 서울대 의학지식 문답세트(SNUH ClinicalQA)를 포함해 국내 의료법, 진료 가이드라인 등을 집중 학습했다. 또한 서울대병원 의료진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국내 의료 환경과 진료 상황의 맥락을 정확히 이해하도록 설계된 ‘소버린 AI(Sovereign AI)’ 모델이다.

네이버는 이날 의료 특화 에이전트 플랫폼 구축 계획도 발표했다. 이를 통해 병원 내 문서 작성 보조, 진단 보조 등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향후 기능을 고도화하여 안전성과 정확도를 강화할 방침이다.

이해진 네이버 GIO는 “Kmed.ai가 의료진과 환자, 의료기관의 데이터를 보호하고 의료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며 “한국 의료 상황에 최적화된 소버린 AI의 성공 사례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영태 서울대병원장은 “이번 성과는 한국 의료 소버린 AI 구축의 중요한 이정표”라며 “환자 안전과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AI 기반 지능형 병원 전환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네이버는 스마트 서베이, 페이션트 서머리 등 다양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이앤피메디, 인바디, 세나클 등 헬스케어 기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기자 /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전달하며, 다양한 세계와 소통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 I want to get to know and connect with the diverse world of start-ups, as well as discover their stories and tell them.

댓글

댓글 남기기


관련 기사

투자 스타트업 이벤트

이해진 “M&A 안 하면 망할 수도”… 네이버·두나무, 5년 10조원 베팅

스타트업

네이버-두나무, 5년간 10조원 AI·웹3 생태계 투자 계획 발표

투자

네이버·두나무 20조원 빅딜 체결… 국내 스타트업 M&A 역대 최대

트렌드

네이버지도 ‘예약’ 탭 도입…외국인 관광객 위한 다국어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