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103억 매출 중 63억은 작가에게’ 레진코믹스식 방정식

unnamed

레진코믹스를 서비스 중인 레진엔터테인먼트는 2013년 6월부터 지금까지 약 200편이 넘는 만화를 매일 연재하며 개성 넘치는 신인부터 이현세, 문정후 작가 등 한국 만화 거장들의 작품까지 망라하는 국내 최고의 웹툰 미디어로 성장했다.

또한 2013 글로벌 K스타트업 최우수상, 2014 대한민국 인터넷대상 국무총리상을 연달아 수상하며 정부 기관도 인정하는 대한민국 대표 스타트업의 계보를 훌륭히 잇고 있는데 그 배경으로는 성공적인 웹툰 수익화 및 작가 중심의 수익 분배 정책을 통한 웹툰 창작 환경 개선을 꼽을 수 있다.

실제로 약 200여 명의 신인 작가들이 레진코믹스를 통해 성공적으로 데뷔, 업계 최고 수준의 대우를 받고 있으며 누적 매출 103억 중 결제 수수료를 제외한 매출의 약 70%인 63억원이 작가 고료로 환원되었다. 인지도가 낮은 신인 작가들의 고료 또한 포털 사이트 평균인 월 120~160만원 이상으로 지급하여  “성공적인 웹툰 작가 = 포털 사이트 연재” 라는 공식을 깨뜨리기도 했다.

이렇게 대중화에 성공한 웹툰 시장과는 달리 연재처 부족으로 가장 취약한 위치에 있던 예비 작가들을 대상으로도 매년 장학금을 지급하고 멘토링 및 레진코믹스 연재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청강대, 상명대, 세종대 만화과 졸업생들이 이 혜택을 누리고 있다.

건강한 웹툰 콘텐츠 생태계를 조성하고 웹툰 작가들의 안정된 삶을 위한 레진코믹스의 노력은 아이디어 고민과 객관적인 작품 평가를 아우르며 창작 파트너로서의 상생을 추구하는 편집자 시스템 구축, 전체 작가들을 대상으로 한 건강검진 제공 등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레진엔터테인먼트의 한희성 대표는 “어렸을 때부터 만화가를 꿈꿔왔지만 사회적 약자라는 인식으로 부모님의 높은 벽을 넘지 못했던 과거를 반추삼아 모든 부모님이 만화가 자녀를 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 할 수 있도록 작가 복지에 최선을 다할 것이며 약 200여 명의 작가들이 받고 있는 양질의 건강검진은 그 시작에 불과하다” 라고 말한다.

한편, 레진코믹스의 7편의 웹툰이 현재 영화 및 드라마화 진행 중이며 올해 말까지 20편 가량으로 확대, 활발한 2차 판권 사업을 진행하여 작가들에게 지속적인 판권 수익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스타트업 구인구직] 리디, 몰로코, 레진엔터테인먼트, 요기요

투자

틱톡의 바이트댄스가 480억 원 투자한 한국 기업

Business

키다리스튜디오, 키다리이엔티와 합병…종합 콘텐츠 기업 된다

스타트업

레진엔터테인먼트, 키다리스튜디오 자회사로 편입…김영훈 대표 체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