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복지부, 1500억원 규모 ‘글로벌 헬스케어 펀드’ 조성

1150403_545764212145394_1592787194_n제약·의료기기·화장품 산업, 의료기관 해외 진출 등 보건의료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글로벌 진출에 특화하여 투자하는 ‘글로벌 헬스케어 펀드’가 새롭게 조성된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 이하 복지부)는 1월 25일 결성 총회를 통해 복지부(모태펀드에 출자) 300억원과 KB인베스트먼트, 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 등 민간 10개 기관이 1,200억원 출자를 결정해 총 1,500억원 규모의 ‘글로벌 헬스케어 펀드’가 조성되었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13년부터 높은 리스크, 장기투자 회임기간, 시장 형성 초기 분야 등의 이유로 민간의 자발적 투자가 쉽지 않고, 산업 육성을 통해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제약·의료기기·의료기관 해외 진출 등의 보건의료 산업에 대해 성공 사례 창출과 민간투자 활성화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공공펀드를 조성하고 있다.

‘글로벌 헬스케어 펀드’는 보건의료 제품(제약·의료기기 등), 서비스(의료기관, 의료 시스템 진출)로 주목적 투자대상이 구분되어 있던 기존 1~3호 펀드와는 달리 양자를 모두 통합하여 투자 포트폴리오 다양화와 투자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에 따라 동 펀드는 제약·의료기기·화장품·CRO 산업에 종사하는 기업(조성금액 50%(750억원) 이상)과 해외로 진출하고자 하는 의료기관(조성금액 20%(300억원) 이상) 등에 투자하게 된다.

또한 펀드 형태는 한국벤처투자(KVF : Korea Venture Fund)로 기술력은 있으나 자본력이 취약한 중소·벤처기업에 중점 투자하도록 했고, 펀드 운용 기간도 8년(추가 2년 연장 가능)으로 길게 정해 펀드 운용사가 장기적인 안목에서 투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동욱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작년은 한미약품이 총 8조원 규모의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의료 해외진출 및 외국인 환자 유치 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국제의료사업의 동력이 확충되는 등 우리 업계에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준 고무적인 한 해였다”고 말했다.

또한 “이러한 시기에 업계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1,500억원 규모의 펀드가 결성되어 기대가 크며, 정부도 2016년 대통령 업무보고를 통해 바이오헬스 7대 강국 도약 의지를 천명한 만큼 동 펀드도 성공적으로 투자·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댓글 남기기


관련 기사

이벤트

벤처블릭, 싱가포르 ‘SWITCH 2025’서 국내 헬스케어 해외 진출 지원

이벤트

싱가포르 혁신기관 4곳 참여…홍릉강소특구, 헬스케어 협력 행사

이벤트

보건복지부-중앙사회서비스원, 소링아 3기 모집

스타트업

콘택트렌즈 온라인 배송 플랫폼 ‘내눈N’, 구글 창구 프로그램 7기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