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트렌드

드라마는VOD, 스포츠는 PC, 음악 동영상은 모바일로 본다.

908ae523-fb00-4093-8194-9843fe6f600f

국내 인터넷 이용자 10명 중 8명 이상은 온라인 동영상 시청 시 최소한 두 개 이상의 스크린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V, PC, 스마트폰 등 3가지 기기를 동시에 사용한다는 답변도 무려 43.4%나 됐다.

DMC미디어가 최근 6개월이내 인터넷 이용경험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동영상 시청경험을 조사한 ‘2016 멀티 스크린(Multi-Screen) 동영상 시청 행태 및 동영상 광고접촉 태도와 효과 분석 보고서(만 19세~59세 남녀 800명 표본조사)’를 16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온라인 동영상 이용 경험자 781명 가운데 89.6%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스크린을 활용해 동영상을 시청한다고 응답했다. 데스크탑 PC,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TV 중에서 총 3개 이상의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3 Screen’ 이용자는 43.4%로 멀티 스크린 이용자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반면 TV만 단독으로 이용한다는 응답은 0.3%에 불과했으며, 모바일 단독 이용자는 3.7%, PC는 6.4%로 조사됐다. 즉, 전체 응답자 10명 중 1명에 해당하는 10.4%만이 하나의 스크린으로 온라인 동영상을 시청하는 셈이다.

온라인 동영상 시청방법은 다운로드보다는 스트리밍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바이스별로 보면 PC 스트리밍이 60.6%, 모바일은 84.3%로 모바일로 동영상을 시청할 때 스트리밍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온라인 동영상 중 유료 콘텐츠 이용 비중은 TV 이용자가 28.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PC(18.5%), 모바일(14.4%)순이었다. TV의 유료 콘텐츠 이용 비중이 높은 이유는 다시 보기, 극장 동시상영 서비스, 포인트 제공 이벤트 등의 서비스 영향이 클 것이라고 DMC미디어는 분석했다.

주로 이용하는 동영상 매체는 유튜브가 PC(42.4%)와 모바일(38%)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네이버 TV캐스트가 PC 16.7%, 모바일 17.2%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는 디바이스에 따라 PC이용자는 곰TV(7%)를, 모바일 이용자는 페이스북(15.7%)을 통해 시청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시청 장르는 유무선 기기의 종류와 상관없이 예능 시청비율이 대체적으로 높았다. 다만 TV로는 영화(55.1%), 드라마(51%)를, 모바일로는 뮤직(18.9%), PC로는 스포츠(22.5%) 동영상을 상대적으로 많이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 3월 9일부터 18일까지 10일간 인터넷을 이용하는 만 19세 이상 59세 미만의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동영상 시청 방법, 온라인 동영상 유/무료 서비스 이용 비중, 주 이용 매체와 장르, 디바이스별 온라인 동영상 광고 클릭률과 시청률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트렌드

유튜브 PC 유저 52.1%, 모바일 유저 78.1%가 ‘충성 유저’

트렌드

조기대선 유권자의 미디어 이용 행태 예측 보고서

트렌드

‘헤비 쇼퍼’ 10명 중 7명 스마트폰으로 구매, 쇼핑 앱 평균 3.6개 이용

트렌드

2017년 디지털 마케터가 주목해야 할 10대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