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유튜브 PC 유저 52.1%, 모바일 유저 78.1%가 ‘충성 유저’

국내 유튜브 이용자 절반 이상이 향후에도 동일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의사가 있는 ‘충성 유저’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튜브를 선택한 이유로는 제공하는 무료 콘텐츠의 양과 다양성을 꼽았다.

종합 디지털 미디어렙 및 광고플랫폼 전문기업 DMC미디어가 발표한 ‘2017 인터넷 동영상 시청 행태 및 동영상 광고 효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유튜브 이용자 중에서 PC 유저의 52.1%, 모바일 유저의 78.1%가 유튜브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의사가 있는 로열티 높은 ‘충성 유저’인 것으로 드러났다. 다음으로 많은 충성 유저를 보유한 매체는 네이버 TV 캐스트로 PC와 모바일 각각 41.1%, 68.6%를 기록했다.

동영상 시청 매체를 선택할 때 주요하게 고려하는 기준으로는 PC(39.7%)와 모바일(39.1%) 모두 무료 콘텐츠의 양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았으며 콘텐츠 종류의 다양성이 PC 28.9%, 모바일 28.5%로 뒤를 이었다.

인터넷 동영상 시청 방법은 다운로드보다 스트리밍이 더욱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바이스별로 살펴보면 PC 스트리밍(65.9%)보다 모바일(81.0%)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하지만 전년 대비 증감 추이에 있어서는 PC 스트리밍은 5.4% 증가한 반면 모바일은 3.3% 감소하는 차이가 있었다.

주로 이용하는 동영상 매체는 지난 해에 이어 유튜브가 PC(45.5%)와 모바일(42.8%)에서 독보적인 1위를 차지했으며, 네이버 TV캐스트가 PC 18.8%, 모바일 15.4%로 2순위였다. 이후로 PC이용자는 곰TV(5.9%), 모바일 이용자는 페이스북(9.1%)을 통한 시청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편, 전년과 비교해 PC에서 두드러진 변화는 없었으나 모바일에서는 6.6% 감소한 페이스북(9.1%)의 하향세와 4.9% 증가한 옥수수(8.0%), 신규 론칭한 카카오TV(4.6%)의 약진이 눈에 띄었다.

인터넷 동영상 시청 시간대별로 살펴보면 출퇴근 시간인 오전 6-9시와 오후 18-21시에는 모바일 이용량이 급증하는 경향을 보이며, 해당 시간대에 모바일 옥수수의 이용 비중이 16.4%, 50.7%로 가장 높았다. PC 이용은 취침 전인 21-24시에 제일 활발했고 페이스북(65.2%)과 유튜브(63.7%)의 이용이 많았다.

시청 장르는 디바이스의 종류와 관계없이 예능, 영화, 드라마 순으로 시청 비율이 높게 형성됐다. 다만 PC로는 영화(33.8%)와 스포츠(23.4%), 모바일로는 드라마(26.4%)와 시사/보도/다큐멘터리/교양 프로그램(25.0%)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시청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올해 4월 5일부터 12일까지 8일간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만 19세 이상 59세 이하의 대한민국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스타트업에 필요한 실질적인 지식을 공유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Minjung Kim is a Manager of Platum.
She will try to share practical knowledge necessary for startup.

댓글

댓글 남기기


관련 기사

스타트업

데이븐 AI, 한국 공식 진출… AI 통합 창작 플랫폼 선보여

스타트업

유튜브, 쇼핑 제휴 파트너에 컬리·퀸잇·오늘의집 추가

스타트업

유튜브, 쇼핑 제휴 파트너에 에이블리·4910 추가

스타트업

‘베이비 샤크’ 탄생 10주년…160억 뷰·59개월 연속 유튜브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