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중기청, ’15년 기준 벤처천억기업 474개사 실태조사결과 발표

jjj중소기업청과 벤처기업협회는 ‘15년 기준 매출 1,000억원을 돌파한 벤처기업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21일 발표하였다.  ‘벤처천억기업’ 조사는 2005년부터 실시해온 것으로, 벤처확인기업(82,178개사) 중 2015년 매출 천억원 이상 기업의 경영성과·성공요인을 담고있다.

올해 조사에 따르면, 2015년 매출 1,000억원 이상을 달성한 벤처기업 수는 전년(460개사)보다 14개사(3.0%)가 증가한 474개사로 침체되었던 전년도에 비해 증가폭이 늘었으며(증가율1.5%→3.0%), 신규로 매출 1,000억원을 돌파한 기업도 55개사가 되는 등 평균 매출액은 다소(1.0%) 감소하고 중견기업 비중이 줄었으나, 총 기업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고용·영업이익 등 경영실적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매출 1조 기업(6개사) : 네이버, 성우하이텍, STX중공업, 유라코퍼레이션, 코웨이, 휴맥스
  • 벤처천억기업 수 : (‘12) 416 → (‘13) 453 → (’14) 460 → (’15) 474
  • 평균 매출액(억원) : (‘14)2,151 → (’15) 2,129중소기업 vs. 중견기업(%) : (’14) 34.8% vs. 65.2% → (’15) 38.4% vs. 61.6%
  • 총 고용인력(179,172명, 전년173,420명 대비 3.3% 증가)평균 영업이익(160억원, 전년145억원 대비 10.3% 증가)

벤처천억기업(평균 업력 23.4년)이 창업 후 매출 천억원 달성에는 평균 17.4년이 소요되었으며 창업 7년 이내에 매출 천억원을 달성한 기업도 7개사에 달한다.

  • 자이글, 엘앤피코스메틱, 클레어스코리아, 에스티유니타스, 카버코리아, 더블유게임즈, 솔루엠

㈜더블유게임즈는 최단기간 천억달성, 본글로벌 창업(100%해외매출)을 기록했다.

  • 페이스북 등 SNS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캐주얼 소셜게임 “더블유카지노”를 개발하여 성공, 북미 및 유럽 지역 중심으로 매출 급성장
  • 200여개 국가에 게임서비스, 일 사용자 100만명, 누적 다운로드 2천만건 동시 달성
  • 창업 3.5년만인 ’15년에 코스닥 상장, 상장으로 확보된 자금을 해외마케팅에 사용
  • 매출액(억원) : (’13) 453 → (’14) 713 → (’15) 1,224

벤처천억기업 달성의 주요 원인으로는 ➀창업초기 등 적기에 이루어진 벤처투자, ➁R&D 투자 및 산업재산권 등 지속적인 기술력 확보를 통한 경쟁력 강화, ➂적극적인 해외시장 개척이 특징적이다.

창업 이후 벤처투자를 받은 기업은 200개사로서 이중 57.4%가 창업 7년 이내에 투자를 받아, 초기창업 및 죽음의 계곡 시기의 성장원동력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업당 평균 투자유치 건수는 2.7건, 평균 투자유치금액은 24억원이었다.

또한 평균 43.5건의 특허권(일반벤처기업(4.2건)의 10배) 등 산업재산권 보유 및 활용, R&D 및 연구인력 확보 등 기술혁신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였다. 매출대비 R&D 비율(2.0%)은 중소기업(0.8%), 중견기업(1.05%),대기업(1.4%) 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실리콘마이터스는 연구개발비율 우수(20.1%)기업 (평균 2.0%)으로 언급되었다.

  • 창업주인 허염 대표가 美스탠포드 전자공학 박사학위를 받고 삼성전자, 하이닉스 근무 후 2007년 지인 5명과 자본금 6억원으로 창업
  • 전체 140명 중 엔지니어 인력이 100여명이 될 정도로 기술인재 채용 중시
  • 세계반도체연맹(GSA)이 수여하는 최우수매출성장업체상(Outstanding Revenue Growth Award) 수상
  • 매출액(억원) : (’13) 1,188→ (’14) 1,027 → (’15) 1,682

해외매출, 수출 등을 통해 주요판로를 확대한 것이 천억 벤처의 성공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기업당 평균 수출금액은 529억원이며(중견기업 450억원), 매출액대비 수출비율 24.9%였다.

특히, 전년도 수출증가율이 마이너스인 가운데, 벤처천억기업의 전년도 대비 수출증가율은 18.7%을 기록하였다.

중기청은 이번 벤처천억기업 조사 결과는 저성장시대 진입에 따라 성장세는 다소 완만해졌으나, 벤처기업이 창조경제의 주역이 될 성장 동력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반증이며 후발 창업·벤처기업들이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벤처천억기업의 성공요인을 바탕으로 성장 노하우를 습득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트렌드

벤처기업 41% ‘주 52시간제 준수 어렵다’… 총량제·화이트칼라 이그젬션 도입 목소리 높아

이벤트

“벤처·스타트업 육성, 대한민국 경제정책의 최우선 순위 되어야”

트렌드

숫자로 보는 벤처 한국의 글로벌 경쟁력

Uncategorized

벤처기업 육성 위해 중기부와 특허청 협력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