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코스닥 3,000 시대를 열자” 3개 단체 공동 정책제안

7월 30일(수) 중소기업중앙회 상생룸에서 코스닥시장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안 기자간담회가 진행되고 있다.

벤처기업협회·코스닥협회·벤처캐피탈협회, 구조개선·기관투자 확대·활성화 펀드 조성 촉구

벤처기업협회, 코스닥협회, 한국벤처캐피탈협회 등 3개 단체가 30일 여의도에서 코스닥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안 기자간담회를 공동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세 기관장들은 한목소리로 코스닥시장의 구조적 개혁 필요성을 강조하며 ‘코스닥 3,000 시대’를 열기 위한 핵심 정책을 제안했다.

“회수시장 정체, 창업·투자 선순환 막아”

송병준 벤처기업협회장은 “코스닥 3,000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지금이야말로 코스닥시장의 새로운 역할을 정립해야 할 시점”이라며 “회수시장의 정체는 결국 창업과 투자의 선순환을 막고 있으며, 이를 구조적으로 바로잡기 위한 시장 중심의 코스닥 구조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송 회장은 “코스닥 시장은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과 기술력 등 무형자산에 프리미엄을 부여하는 ‘성장주 중심 시장’이라는 본연의 정체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중기부와 금융위 등 관계부처 논의를 통해 정부의 정책 로드맵을 제시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그는 현재 코스닥시장이 출범 당시보다 20% 낮은 약 800포인트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시가총액이 나스닥의 1%에 불과한 상황을 지적하며 “최근 한국의 대표적인 유니콘 기업들이 한국 증시가 아닌 나스닥 상장을 검토 중인 이유는 코스닥 디스카운트로 인해 국내에서 적절한 기업 가치를 인정받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국민연금 코스닥 투자 3%로 확대해야”

이동훈 코스닥협회장은 “한국경제의 혁신 성장을 위해서는 코스닥기업의 성장과 코스닥시장 활성화가 선결과제”라며 “이를 위해서는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의 코스닥시장 투자 확대와 개인투자자의 장기투자를 유도할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현재 코스닥시장의 투자자 구성을 문제로 지적했다. “기관과 법인이 보유한 주식 비중은 30%에 불과한 반면, 개인투자자가 보유한 주식은 65%에 달하고 있다”며 “이는 기관투자자의 비중이 약 50%에 이르는 코스피시장과 비교할 때 코스닥시장이 상대적으로 기관투자자로부터 외면받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특히 국민연금의 경우 “전체 운용자산 중 국내 주식 투자 비중은 약 12%이며, 그중 95.8% 이상이 코스피 종목에 집중되어 있다”며 “국민연금이 보유한 자산 중 코스닥 투자 비중을 3%로 단계적 확대할 것을 제안한다. 이는 약 37조원 규모의 장기 안정자금이 코스닥시장으로 유입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또한 “코스닥시장 장기 투자 시 보유 기간별 인센티브로 배당소득 세율을 추가로 인하하는 세제혜택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연간 10조원씩 3년간 총 30조원 규모 펀드 조성”

김학균 한국벤처캐피탈협회장은 “창업기업이 글로벌 혁신기업으로 성장해 국가 경제성장을 견인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나스닥시장과 같이 모험 자본시장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연간 10조원씩 3년간 총 30조원 규모의 코스닥 활성화 펀드 조성을 통해 코스닥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기관투자자 중심으로 체질을 개선해 코스닥 3,000 시대를 열자”고 말했다.

김 회장은 한국과 미국의 혁신기업 현황을 비교하며 위기감을 드러냈다. “미국의 경우 시가총액 상위 30개 기업 중 창업자가 생존해 있는 이른바 ‘혁신기업’이 16개사에 달하고, 시총 기준으로는 이러한 기업이 70%를 차지하고 있어 빅테크를 필두로 한 혁신기업이 국가 경제 성장의 동력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한국은 시가총액 상위 30개 기업 중 혁신기업이 5개밖에 되지 않으며, 시총 기준으로는 고작 10%에 불과한 상황”이라며 “지금의 코스닥시장은 혁신·벤처기업의 성장 자금을 공급하는데 한계가 있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 회장은 “코스닥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벤처업계와 산업계 등 관련 업계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앞으로 중기부와 금융위 등 관계부처가 다 함께 논의에 참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3개 단체 핵심 정책제안

벤처기업협회는 시장중심의 코스닥 구조개선을 위해 민간이 주도하는 책임형 상장 구조 도입과 주관사의 책임 및 역할 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또한 성장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 질적 심사체계로의 전환과 상장 폐지제도 정비 및 구조조정 활성화를 통해 ‘다산다사’ 역동적 시장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코스닥 3,000 시대’ 달성을 위한 정책 비전과 로드맵 수립을 정부에 요청했다.

코스닥협회는 기관투자자의 코스닥 투자 및 장기투자자 인센티브 확대 방안으로 국민연금의 코스닥 투자 비중을 시가총액 비중만큼 확대할 것을 제안했다. 동시에 장기 투자자에 대한 배당소득 세율 인하 등 세제 인센티브 강화와 기관투자자들의 코스닥 시장 참여 유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벤처캐피탈협회는 코스닥 활성화 펀드 도입을 통해 연간 10조원씩 3년간 총 30조원 규모의 ‘코스닥 활성화 펀드’를 조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펀드는 정부와 정책금융기관의 마중물 출자를 바탕으로 민간투자자의 참여를 확대하고, 벤처기업 및 중소 혁신기업에 대한 모험자본 공급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세 기관장들은 정부가 ‘코스피 5,000 시대’를 향한 청사진을 밝힌 가운데, 코스닥 시장 역시 벤처기업의 등용문이자 모험자본의 공급처라는 역할을 다하기 위해 혁신적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한목소리로 강조했다.

기자 /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전달하며, 다양한 세계와 소통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 I want to get to know and connect with the diverse world of start-ups, as well as discover their stories and tell them.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AI 최적화 기업 노타, 코스닥 예비심사 2개월 만에 통과…하반기 상장 본격화

트렌드

벤처기업들 “AI 3강 도약, 중소기업 지원이 관건”

이벤트

日 진출 교두보 ‘ILS2025’…벤처기업협회, 벤처·스타트업 글로벌 매칭 지원

스타트업

국내 벤처기업 10년간 대전환…제조업→서비스업 중심 재편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