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이벤트

[스타트업 생태계 컨퍼런스 in 부산] 중국 VC가 말하는 중국 스타트업 생태계

디티캐피털(DT Capital, 德同资本)은 200개 이상의 글로벌 기업에 투자한 바 있으며, 포브스가 선정한 ‘중국 최고의 투자회사’에 2006년부터 매년 선정되고 있는 투자전문회사이다. 100억 위안(약 1조7835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초기 창업기업부터 확장단계에 있는 기업까지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에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커머스 스타트업 비투링크에 투자한 바 있다.

25, 26일 양일 간 부산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리는 스타트업 생태계 컨퍼런스에서 브라이언 양(Brian Yang) 디티캐피털 디렉터가 중국의 스타트업 환경에 대해 발표를 진행했다.

그는 “세계화는 한국 스타트업들에게 큰 화두이며, 젊고 국제적인 감각을 가진 팀이 필요하다”며, “수평적인 조직과 빠른 의사결정을 통해 글로벌 진출 전략을 짜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날 발표를 양 디렉터의 시점에서 정리했다.

DSC_5593

중국 스타트업은 2010년 이후부터 매년 두배씩 늘어나, 2015년엔 거의 하루에 4천개의 스타트업이 등장하는 상황이다.

중국은 투자를 통해 독자적 생태계가 구축되어 있다. 시드부터 후기 투자까지 총 망라되어 있다. 또 타오바오, 위챗 등 서비스를 인프라로 성장하는 스타트업이 대거 등장중이다.

중국의 거대 인터넷 기업 텐센트와 알리바바는 미래 성장을 위해 스타트업 생태계 확장을 적극 추진중이다. 텐센트는 텐센트 오픈플랫폼을 열고, 중국 25개 도시에 500,000m2 규모의 이노베이션 스페이스를 마련하는 등 적극적으로 생태계 조성에 뛰어들고 있다. 텐센트는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텐센트만의 생태계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있다. 자체 스타트업 육성 지원 프로그램 오픈플랫폼을 통해서다.

알리바바 역시 적극적이다. 알리바바의 2015년 보고서에는 ‘장기적인 성장을 이루기 위해 스타트업 생태계 확장의 필요성’이 언급되어 있다.

뿐만 아니다. 위챗, QQ, 웨이보 등 서비스가 스타트업 인프라를 바꾸고 있다. 이 서비스들은 스타트업이 트래픽을 매출로 연결시키는 것을 돕는 대형 플랫폼이 되고있다. 이에따라 중국 스타트업들은 앱에서 SNS로 플랫폼을 바꾸고 있다. 과거 중국 스타트업이 ‘제2의 텐센트나 알리바바가 되자’ ‘위챗을 이기자’로 시작했다면, 현재 스타트업은 “위챗과 웨이보를 통해 돈을 벌자”로 인식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는 대표적 스타트업 사례로 디디추싱과 얼러머를 들 수 있다.

2012년에 설립한 택시예약 서비스 디디추싱은 현재 일간 1400만건 이상의 예약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100억 달러 상당의 투자 유치를 통해 350억 달러의 기업으로 평가 받고 있다.

또 2009년에 설립된 음식 배달 서비스 얼러머는 일간 5백만 건의 음식 배달주문이 발생하고 있으며, 11억 달러 규모의 투자유치, 45억 달러의 기업으로 평가된다. 이들 기업의 대표는 불과 31살과 33살이다.

중국 스타트업 생태계의 독특한 경향은 동종 혹은 이종 분야 선두 기업이 경쟁이 아니라 협업을 자주 한다는 것이다. 더 큰 시장 점유율과 마케팅 비용을 낮추기 위해서다. 이러한 효율적 환경은 투자자들의 출구 전략이자 새 투자유치의 발판이 되고 있다.

세계화는 한국 스타트업들에게 큰 화두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제적이고 수평적인 팀과 빠른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빠르게 바뀌는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회사를 만들어 현지화해야 한다. 또 국제적인 투자기금과 협력하거나 글로벌 VC로부터 투자를 유치하는 것이 글로벌 진출의 좋은 출발이다.

기자 / 제 눈에 스타트업 관계자들은 연예인입니다. 그들의 오늘을 기록합니다. 가끔 해외 취재도 가고 서비스 리뷰도 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글로벌

[중국 비즈니스 트렌드&동향] 샤오미 자율주행 인명사고, 화웨이는 최고 성장률 기록

글로벌

[중국 비즈니스 트렌드&동향] 中 테크 거인들, AI 시대 항해 예고

글로벌

[중국 비즈니스 트렌드&동향] 알리바바, 허마 사업 재편 가속화

글로벌

[중국 비즈니스 트렌드&동향] 딥시크, API 서비스 수익성 공개… ‘하루 6억원, 이익률 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