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텐센트 클라우드, AI·미디어 기술로 국내 웹기업 디지털 경쟁력 강화 나서

‘텐센트 클라우드 데이’ 개최…게임·라이브스트리밍 전문성 바탕 확장 전략

글로벌 테크 기업 텐센트의 클라우드 서비스 브랜드 텐센트 클라우드가 AI와 미디어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 웹 기반 기업들의 비즈니스 확장과 혁신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텐센트 클라우드는 지난 2일 서울에서 ‘텐센트 클라우드 데이’ 행사를 개최하고 자사의 AI 및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을 선보였다. 한국에서 네 번째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국내 IT 업계 관계자와 고객사 주요 임직원 등 약 200명이 참석해 다양한 산업 분야의 디지털 혁신 방안을 논의했다.

텐센트 클라우드는 한국 게임 및 라이브스트리밍 분야에서 축적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도화된 AI 기술과 클라우드 역량을 결합해 국내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겠다는 전략을 제시했다.

현재 텐센트 클라우드의 첨단 AI 솔루션과 확장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는 국내 상위권 게임 기업에 도입되고 있다. 멀티 클라우드 컴퓨팅 파워부터 3D 가상 공간 구축, 디지털 아바타, 인앱 커뮤니케이션 기능까지 한국 게임 산업 전반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라이브 스트리밍 분야에서도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제공하며, 소매업체와 중소기업, 홈 기반 사업자들이 라이브커머스 채널을 통해 신세대 한국 소비자들과 효과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허정필 텐센트 클라우드 코리아 컨트리 매니저는 “최근 한국 기업들의 고성능 AI 및 클라우드 네이티브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며 “게임과 라이브스트리밍 산업을 선도하는 한국 기업들의 신뢰받는 파트너로서 통합 디지털 생태계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AI 혁신을 한국의 창의성과 결합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차세대 AIGC 기술로 B2B 비즈니스 성장 견인

텐센트 클라우드는 풍부한 AI 기술 개발 및 도입 경험을 바탕으로 광고, 화상 회의, 협업 도구, 고객 서비스, 숏폼 비디오, 클라우드 컴퓨팅 등 다양한 사업 분야에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텐센트의 초거대 AI 모델 ‘훈위안’은 디지털 휴먼, 3D, 비디오 생성 기술 전반에서 빠른 발전을 보이고 있다. 밀리초 수준의 이미지 생성, 업계 최초의 스파스 네이티브 3D 아키텍처, 코딩·수학·과학 분야에서 글로벌 챗봇 아레나 상위권 랭킹 달성 등 의미 있는 성과를 이뤄내고 있다.

현지 파트너들과의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텐센트 클라우드의 리셀러 파트너 네트워크에는 LG CNS, SK C&C, 메가존클라우드, TK101 글로벌코리아, GS, CJ올리브네트웍스 등이 포함돼 있다.

포슈 영 텐센트 클라우드 인터내셔널 수석 부사장은 패널 세션에서 “텐센트 클라우드는 한국 시장에 고도화된 솔루션과 차별화된 현지화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며 폭넓은 산업군을 아우르는 강력한 파트너십을 구축해왔다”고 강조했다. 이날 세션에는 파트너사인 발로프(VALOFE)와 컴투스가 함께했다.

‘고 차이나’ 프로그램으로 글로벌 확장 지원

텐센트 클라우드는 국내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넘어 ‘고 차이나(Go-China)’ 프로그램을 통한 한국 기업들의 글로벌 확장도 지원한다. 이 프로그램은 중국 시장 진출을 모색하는 기업에 인프라, 규제 준수 지원, 사용자 인사이트 등을 제공한다.

한국 기업들은 텐센트 클라우드의 클라우드 몰 솔루션을 활용해 일일 14억 명 이상의 이용자를 보유한 세계 최대 규모 슈퍼앱 위챗(WeChat) 내에 미니앱을 구축함으로써 중국 내 소매 사업을 현지화하고 성장시킬 수 있다.

너키 팡 텐센트 클라우드 인터내셔널 GM은 “텐센트 클라우드는 한국 기업들이 국내를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전략적 파트너십과 혁신 중심의 솔루션을 통해 기업들이 새로운 시장에 자신 있게 진출하고 디지털 역량을 한층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플래텀 중국 연구소장 / 편견 없는 시각으로 중국의 정치·경제·사회 현상을 관찰하고,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현지 상황을 이해하려 노력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글로벌

[중국 비즈니스 트렌드&동향] 앤트그룹, 홍콩서 스테이블코인 시장 ‘쌍두마차’ 진출

글로벌

텐센트, 넥슨 20조원 인수 검토…한국 게임업계 ‘메가딜’ 주목

글로벌

[중국 비즈니스 트렌드&동향] 호수 옆 오두막으로 돌아간 남자

글로벌

[중국 비즈니스 트렌드&동향] 中 테크 거인들, AI 시대 항해 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