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직장인 50.3%, “50세 이전이 현실적인 정년”

%ec%82%ac%ec%a7%84%ec%9e%90%eb%a3%8c-%ec%a0%95%eb%85%84%ea%b4%80%eb%a0%a8-%ec%84%9c%eb%b2%a0%ec%9d%b4-%ea%b2%b0%ea%b3%bc

기대수명은 길어지고 있지만 현실적인 정년은 점점 줄어들며 정년 이후 경제활동에 대한 직장인들의 걱정이 늘고 있다블라인드를 사용 중인 국내 직장인들의 생각을 들어봤다.

국내 대표 직장인 전용 SNS 블라인드(BLIND)를 서비스 중인 팀블라인드(대표 문성욱)가 자사 서비스를 이용 중인 직장인 2,297명을 대상으로 현실적인 정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블라인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57.9%에 달하는 응답자가 60세 이후에도 경제활동을 지속하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는 70세 이상까지 경제활동을 원한다고 응답해 기대수명이 80세를 넘은 만큼 고령까지 경제활동을 희망하는 것으로 보인다.

지금 다니는 회사의 현실적인 정년을 묻는 질문에는 가장 많은 응답자가 ‘46~50(23.6%)’을 선택했다그 뒤를 이어 ‘51~55(23.4%)’, ’41~45(16.9.%)’ 순으로 응답했다현실적인 정년이60세 이상이란 응답은 10.6%, 50세 이상도 49.7% 였다. 50세 이전에 절반 정도가 정년을, 60세 이전엔 대다수가 정년을 맞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년 이후 경제활동을 위해 준비하는 것이 있나?’는 질문에는 13.7%만이 있다고 답했다. 36.4%는 계획은 있으나 시작은 못하고 있다.’, 49.9%는 없다고 답했다어떤 준비를 하고 있는지 물었더니 꾸준하고 계획적인 재테크(35.5%)’, ‘창업을 위한 준비(31.5%)’가 가장 많았다. ‘직무능력 및 네트워크 강화(24.2%)’, ‘어학능력 강화(5.4%)’가 그 뒤를 이었고 기타 답변으로 귀농’, ‘자격증’ 등도 있었다.

팀블라인드 담당자는 국내 직장인들의 현실적인 정년과 원하는 경제활동 연령의 차이가 상당히 크다대다수의 직장인들에게 정년 이후 경제활동 준비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나 아직 이에 대한 준비는 부족한 것 같다라고 말했다.

한편블라인드는 국내 2,300개 기업의 재직자들이 사용 중인 대표적인 직장인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로 현재 한국미국일본 3개국에서 운영 중이다. IT, 은행건설항공유통 등 100여개의 업계와 직군별 소통 공간을 통해 서로의 업무강도연봉분위기 등 지인이 없으면 알기 어려웠던 핵심 정보들이 오가고 있다특히 미국의 구글페이스북아마존마이크로소프트 등 대표적인 ITC기업들에서 인기를 얻으며 반도체전자회계컨설팅 등 다른 업계로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기자 / 인생의 최고 목표는 행복입니다. Stephanie Seo is a Editor of Platum. She covers a korea startup’s ecosystem with their team. She wants to watch the Korea startup growing into a great global company.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직장인 소셜 플랫폼 ‘블라인드’, 가입자 1,200만 명 돌파

스타트업

블라인드, 美 타임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대 기업’ 선정

Uncategorized

韓 직장인 2명 중 1명 지난해 이직 시도… “인재 이탈 막으려면 표현의 자유 보장해야”

스타트업

블라인드, 가입자 수 800만… “삼성·SK·현대차 10명 중 8명 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