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올 상반기 디지털 광고비 전년대비 19% 상승…매체별 광고비는 네이버가 가장 높아

디지털 마케팅 솔루션 기업 메조미디어가 발행한 ‘2017 업종분석 리포트-상반기 광고비 분석’에 따르면, 2017년 상반기 디지털 광고비는 전년대비 1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리포트는 2017년 1월부터 6월까지 PC 및 모바일 디스플레이 광고(DA, Display Ad), 동영상 광고 등 디지털 광고비 현황을 ▲종합 게임교육·복지금융식음료유통자동차 화장품 등 7가지 업종과 종합편으로 구분해 분석·발간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체 디지털 광고비(PC DA, Mobile DA, 동영상 광고)는 2016년 상반기 5,125억원에서2017년 상반기 6,08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체로 전년 동기 대비 높은 광고비가 집행됐으며, 월 평균 1,000억원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 업종분석 리포트-상반기 광고비 분석’ 종합편 5P 참조)

그 중 동영상 광고비가 지난해 상반기 28%에서 올해 상반기 33%로 5% 소폭 증가했다. 모바일 배너형 광고는 전년 동기 대비 2% 늘어난 28%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모바일 기기와 동영상 매체 이용률 증가 트렌드가 주효했던 것으로 보인다. (*’2017 업종분석 리포트-상반기 광고비 분석’ 종합편 4P 참조)

‘상위 10위(TOP 10) 업종 광고비 비교(PC 및 모바일 광고비 총합 기준)’ 조사 결과, 컴퓨터 및 정보통신 분야가 1,022억원으로 규모가 가장 컸으며 이는 2016년 상반기 831억 6,000만원에서 22% 상승한 것이다. 두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한 유통 업종의 올해 상반기 전체 디지털 광고비는 820억원으로 지난해 681억 6,000만원보다 약 20% 이상 상승했다. 그 다음으로 서비스(766억 2,000만원) > 금융/보험 및 증권(575억 9,000만원) > 교육 및 복지후생(365억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17 업종분석 리포트-상반기 광고비 분석’ 종합편 12P 참조)

이 외 업종별 디지털 총 광고비(PC, Mobile 배너형 광고 및 동영상) 현황을 살펴보면,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가 ▲자동차(41%) ▲식품(31%) ▲유통(20%) ▲게임(19%) ▲교육(13%) ▲화장품(12%) ▲금융(-1%) 순으로 높았다. 증가세가 가장 높은 자동차 업종의 상반기 광고비 상승 요인은 신차 프로모션과 경쟁이 치열한 경차 및 중형차 프로모션 광고비 집행 규모의 증가일 것으로 추정된다. (*’2017 업종분석 리포트-상반기 광고비 분석’ 업종별 각 리포트 참조)

‘2017 업종분석 리포트-상반기 광고비 분석’의 보다 자세한 내용은 메조미디어 뉴스레터 인사이트엠(Insight M) 및 공식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 무료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리포트의 광고비 데이터는 웹 사이트 및 앱에 게재된 인터넷 노출형 광고를 수집, 분류 및 통계 처리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인 리서치애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됐다.

(자료 = 메조미디어)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이벤트 스타트업

네이버, 컬리·우버 택시와 파트너십 확대로 사용자 단골력 강화 나서

Uncategorized

네이버 블로그, 출시 22주년 맞아 AI 개인 맞춤 추천 기능 강화

Uncategorized

네이버와 롯데 유통군, 온·오프라인 연계한 AI 전환 파트너십 발표

Uncategorized

네이버 예약 서비스 10주년… 누적 이용자 2767만 명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