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네이버는 쇼핑, 다음은 뉴스, 구글은 검색

DMC미디어가 16일 발표한 ‘2017 인터넷 서비스 이용 행태 및 광고 효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네이버 이용자는 쇼핑, 블로그를 주로 이용하는 반면, 다음 이용자는 뉴스와 이메일을, 구글 이용자는 검색 기능을 즐겨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 전체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서비스는 검색(55.2%)이었다. 검색을 통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뉴스(31.2%)를 찾아본다고 답했고, 다음으로 지식(25.2%), 맛집(9.2%), 상품(8.6%) 등을 검색한다고 응답했다. 검색 다음으로 즐겨 사용하는 서비스는 뉴스(50.2%), 이메일(35.4%), 쇼핑(27.5%) 등의 순이었다. 검색과 이메일은 지난해 대비 각각 17.3%p, 13.8%p 하락한 반면, 쇼핑과 지도, 부동산 카테고리 이용률은6.9%p, 6.3%p, 4.4%p 상승하며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성별에 따라 선호하는 서비스 카테고리에도 차이가 있었다. 남성은 뉴스(60.3%), 부동산(7.8%), 게임(7.4%), 증권(8.4%)을, 여성은 주로 이메일(37.3%), 쇼핑(35.3%), 커뮤니티/카페(22.9%), 블로그(22.9%) 서비스를 상대적으로 더 선호했다. 연령대별로도 나이가 적을수록 동영상(20대 19.0%, 50대 10.1%), 소셜 미디어(20대 19.2%, 50대 10.6%), 웹툰(20대 24.9%, 50대 2.6%)에 관심을 보였고, 높은 연령대일수록 뉴스(50대 63.7%, 20대35.6%), 금융(50대 18.6%, 20대 6.2%) 카테고리를 활발히 이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포털 사이트를 택할 땐 이용 편리성(53.2%), 검색 정확성(49.9%), 콘텐츠 및 서비스 다양성(42.9%), 검색 속도(30.9%) 순으로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사이트 주 이용자 중 다수는 이용 편리성을 중시(57.6%)한다고 답했는데, 실제로 뉴스(64.0%), 이메일(44.0%) 등의 서비스에서 강세를 보였다. 검색(63.7%)에서 우위를 보인 구글 주 이용자는 검색 정확도(71.3%)와 검색 속도(39.2%)를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 주 이용자는 콘텐츠 및 서비스 다양성이 중요(45.9%)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실제로 쇼핑(28.9%), 커뮤니티/카페(21.5%), 블로그(21.9%), 웹툰(12.9%) 등 상대적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전국 인터넷 이용자의 성별, 연령대별 분포를 고려해 할당추출(Quota Sampling)한 만 19세 이상 59세 이하 한국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8월 9일부터 22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기자 / 인생의 최고 목표는 행복입니다. Stephanie Seo is a Editor of Platum. She covers a korea startup’s ecosystem with their team. She wants to watch the Korea startup growing into a great global company.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네이버, 현대차그룹과 차량용 AI 생태계 조성 추진

스타트업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복귀…최수연 2기 체제 본격화

스타트업

네이버 ‘AI 브리핑’ 출시로 온서비스 AI 전략 가속화

Uncategorized

KBO 개막 앞두고 포털사들의 새로운 야구 서비스 경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