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TIP] 여권 재발급 받은 뒤 알리페이와 위챗페이 정보갱신을 하려면

대륙에서 알리페이, 위챗페이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이는 중국을 기반으로 삶을 영위하는 외국인에게도 그대로 치환된다.

중국서 양대 모바일 페이먼트 서비스를 이용 하려면, 중국 현지 은행 계좌 유무가 첫 관문이다. 이것이 해결되면 다음에 만나게 되는 문턱이 여권 재발급 이슈다.

여권번호가 바뀌었다고 해서 알리페이나 위챗페이를 이용하는데 지장이 있는건 아니다. 다만 휴대폰을 분실하거나 계정에 문제가 생겼을 때 여권번호 갱신이 되어있지 않으면 해결 과정이 매우 복잡해진다. 때문에 미리 업데이트를 해놓는게 만일을 대비해 과정이 번거롭지 않다.

기자는 이번에 여권을 갱신하면서 중국서 두 번째 관문을 만났다. 그 해결과정을 공유한다.

위챗페이나 알리페이 둘 다 PC, 모바일 메뉴에선 여권번호 변경을 할 수 없다. 고객센터를 통해서만 바꿀 수 있다.

위챗페이 앱에서 여권번호 정보 변경 방법 ABC

우선 모바일이든 PC든 간에 여러 개의 탭을 거쳐야 한다.

  • 1)위챗 앱에서 하단 나(我) 메뉴를 클릭 후, 위챗페이(支付) 를 선택
  • 2)결제(支付) 화면 상단 오른쪽에 “… “클릭
  • 3)결제관리페이지에서 실명인증(实名认证) 란에 인증완료(已认证) 버튼 선택
  • 4)실명인증센터(实名认证中心)에서 아래 하단을 보면 FAQ(常见问题)를 선택

4번까지 완료하고 나면 이제 본격적으로 여권번호를 바꿀 수 있다.

FAQ(常见问题) 페이지 오른쪽 하단에 고객센터 연결(联系客服)를 선택하면 대화창이 열린다. 여기에 여권번호 업데이트(护照号码要修改)를입력한다

이후 [위챗페이]실명/신분증정보 업데이트 선택 (1[微信支付]修改实名身份证信息), 그리고 여기클릭(点击此处)을 해서 바뀐 여권 사본을 업로드 할 수 있다.

하단 이미지를 참고해서 본인이름 및 구여권번호와 신여권번호, 그리고 등록한 중국 휴대폰 번호를 입력한다.

사진은 신분증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한 장만 업로드하면 다음으로 넘어가질 않는다. 같은 여권사본이지만  구여권사본 2장, 신여권사본 2장을 선택 업로드 해야만 제출을 마무리 할 수 있다. 모든 과정이 마무리되면 ’24시간 후에 반영된다’고 안내가 뜬다.

주의할 점은, 여권번호가 바뀌고 나면 기존에 등록했던 중국은행 카드들도 모두 해제된다. 때문에 카드 연동(绑定银行卡)를 다시 해야 원활히 모바일 결제를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알리페이는 기존카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알리페이에서 여권번호 정보 변경 방법 ABC

알리페이 앱 혹은 PC환경에서 로그인한다. 웹에서 로그인하면 우측에 고객센터 바로 이동 옵션이 보인다.

고객센터 대화창이 열리면 챗봇 상담을 할 수 있다. 다만 외국인 여권번호 변경에 대한 답변은 못 해주는 옵션이다. 결국 고객센터 직원과 연결되어야만 변경 가능하다.

고객센터 직원과 바로 연결하려면 잡다한 안내 문구는 무시하고 ‘고객센터 직원서비스(人工服务)’를 입력하면 된다. 입력 후 ‘온라인 고객센터 연결중(联系在线客服)’이라는 메세지가 뜬다. 고객센터 직원과 연결되면 ‘여권번호 갱신(护照号码要修改)’이라고 입력창에 쓰면 ‘신분확인 입력창에 여권번호 끝 4자리를 입력하면 다음단계로 넘어갈수 있습니다.(好的,您的问题我了解了。麻烦您在跳出的验证框输入对应身份验证信息以便进一步查询。)’등 메시지가 뜬다(아래 이미지 참조).

본인 확인이 완료되면 증빙서류를 업로드해야 한다. 알리페이앱 첫 화면에서 “증빙서류 제출하세요(客服喊您来提交凭证啦)”라는 메세지 부분을 클릭한 뒤 새로운 여권사본을 업로드하면 된다. 직접 여권을 카메라로 찍어 올려도 되고, 스캔본을 선택해 업로드해도 된다. 제출하고 나면 ‘제출성공(提交成功)’이라는 메세지가 뜬다. 이후 ‘업무일 기준 3일내에 변경된다’라는 안내가 나온다.

3일 내 변경된다는 안내가 있었지만, 알리페이는 당일 바로 새로운 여권번호로 업데이트 되었다.

한국과 중국의 스타트업 생태계를 현장 중심으로 취재하며, 최신 창업 트렌드와 기술 혁신의 흐름을 분석해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글로벌

알리바바, 세계 최초 MoE 기반 영상 생성 모델 ‘Wan2.2’ 오픈소스 공개

글로벌

알리바바 클라우드, 싱가포르 AI 센터 설립으로 글로벌 주도권 확보 나서

글로벌

텐센트 클라우드, AI·미디어 기술로 국내 웹기업 디지털 경쟁력 강화 나서

글로벌

[중국 비즈니스 트렌드&동향] 샤오미 전기 SUV, 출시 1시간 만에 28만 대 예약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