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네이버페이가 중국 전역에서 QR결제 서비스를 대폭 확대했다. 네이버페이가 국내 간편결제 업체 중 최초로 중국 내 위챗페이 연동 QR결제 서비스를 시작한다. 네이버페이 사용자들은 중국 본토 대부분의 ...
・
2024.12.24
타오바오에서 위챗페이로 결제 가능해진다 타오바오(Taobao, 淘宝)에서 위챗페이(WeChat Pay, 微信支付)로 결제가 가능해진다. 타오바오측은 12일부터 모든 타오바오 판매자에게 위챗페이 결제를 점차적으로 개방한다고 발표했다. 2013년 7월에 알리바바는 시나 웨이보(Sina ...
2024.09.10
차이냐오, 자체 택배서비스 ‘차이냐오 익스프레스’ 론칭… IPO전 디딤돌 마련 알리바바(Alibaba, 阿里巴巴)의 물류 네트워크 차이냐오(菜鸟)가 자체 택배서비스 ‘차이냐오 익스프레스(菜鸟速递)’를 공식 론칭했다. 차이냐오 CEO 완린(万霖)은 얼마전 열린 ...
2023.07.04
중국이 기나긴 코로나19 펜데믹에서 엔데믹으로 전환하면서 3년여 만에 관광비자 발급이 재개됐다. 펜데믹 기간 PCR 검사는 물론 현지 격리 등 제약 사항이 많았지만, 최근 신속항원검사 정도로 ...
2023.05.05
중국 국민 메신저이자 오픈 플랫폼 ‘위챗(웨이신)’은 중국 사회를 무현금 사회, 디지털 경제로 이끈 주체 중 하나이다. 매월 11억 명이 대화하는 소통의 창구이자 물건을 결제하고 공과금을 납부하는 ...
2020.05.07
지난해 11월 중국의 양대 모바일 결제 서비스인 알리페이와 위챗페이가 동시에 해외 사용자들도 사용할 수 있도록 문호를 열었다. 이전까지 대륙의 잘 갖춰진 모바일 결제 환경은 내국인에 ...
2020.01.23
안면인식 뚫은 3D가면 최근 미국 인공지능 기업 크네론(Kneron)이 고품질 3D 가면을 이용해 안면인식 시스템을 무용지물로 만들었다는 내용의 실험 결과를 발표했다. 회사측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3D가면을 ...
2019.12.24
알리바바 알리페이가 공식적으로 외국인의 모바일 결제 충전을 허용한데 이어 11월 6일 오후 텐센트도 위챗페이를 개방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중국의 양대 모바일 페이먼트가 동시에 해외에 문호를 연 ...
2019.11.06
‘무현금 국가’에서 현금만 써야하는 상황이라면 우리나라를 비롯한 선진국이 ‘현금에서 신용카드, 신용카드에서 모바일 결제’의 단계로 넘어간데 반해, 중국은 현금에서 바로 모바일 결제 단계로 넘어가며 선진화된 모바일 ...
2019.08.23
징둥닷컴 2019 Q2 실적발표, 8분기 연속 흑자…물류 수입 증가 징둥닷컴(이하 ‘징둥’)이 2019년 2분기 매출 1,503억위안(약 25조8천억원), 순이익 35.59억위안(약 6,111억원)을 달성하며 8분기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가고 ...
2019.08.20
Report 글로벌 인사이트
중국은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2012년부터 모바일 결제시장이 태동해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모바일 결제의 상징인 QR코드는 대륙서 한자 다음으로 많이 ...
2019.02.19
“위챗페이는 소비자의 스마트한 삶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소비체인 활성화 및 기업효율 제고에까지 기여하는 형태로 발전할 것이다” – 위챗페이 산업응용본부 곽윤증(郭润增) 부총재 위챗에 페이기능이 도입된지 ...
2019.02.18
대륙에서 알리페이, 위챗페이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이는 중국을 기반으로 삶을 영위하는 외국인에게도 그대로 치환된다. 중국서 양대 모바일 페이먼트 서비스를 이용 하려면, 중국 현지 은행 계좌 ...
2019.01.28
최근 닐슨이 조사 분석한 ‘2018 중국인 관광객 모바일 지불결제 해외 이용실태 보고서(2018 Trends for Mobile Payment in Chinese Outbound Tourism)’에 따르면, 중국인 관광객의 해외 모바일 ...
2019.01.22
글로벌 이벤트
지난해 중국인 관광객 해외 출국자 수는 1.3억 명을 넘었다. 세계 최대 해외 여행객 송출국이다. 지난 10월 1일부터 7일까지 중국 최대 황금연휴인 국경절 기간에 해외여행을 떠난 중국인 ...
2018.10.25
중국의 IT환경 변화는 하루가 다르다. 중국 정부가 판을 깔고 BAT(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등 자금과 기술력으로 무장한 인터넷 기업이 주도해서 생기는 변화다. 혁신을 받아들이는 대중의 수용도 역시 ...
2018.07.05
이미 몇년 전부터 많은 전문가는 중국의 IT환경이 한국보다 훨씬 크고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말해왔다. 실제로 ‘BAT’로 불리우는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등 중국 IT기업은 세계적인 기업으로 ...
2018.03.22
트렌드
음식배달 서비스 ‘메이퇀(美团)’, 공유경제 분야로 사업 확장… 청두서 공유자동차 서비스 개시 중국 1위 음식배달 서비스 메이퇀이 공유경제 산업으로 영역을 확장중이다. 메이퇀측은 12월부터 공유동차 산업에 진출한다고 ...
2017.12.04
텐센트, 위챗에 ‘링첸퉁’ 추가, 알리페이 “위어바오”와 맞대결 최근 위챗에 온라인금융상품(MMF) ‘링첸퉁’ 이 추가된다. 링첸퉁은 머니마켓펀드 상품의 일종으로 사용자는 계좌이체, 공과금 납부, 큐알코드 결제, 신용카드 할부금 납부등에 ...
2017.09.07
‘현금유통방해’… 中 중앙은행, 무현금 시류에 우려 표명 중국은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주도하는 무현금시대로 접어든 추세다. 이런 시류에 맞춰 최근 알리페이와 위챗페이는 ‘무현금’을 테마로 한 다양한 프로모션을 활발히 진행중이기도 하다. 하지만 중국 통화정책을 ...
2017.08.18
전세계적으로 스마트폰과 인터넷이 발달하며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와 스타기업이 탄생해 왔다. 근래에는 공유경제 서비스 모델을 앞세운 유망기업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공유경제(Sharing Economy)는 아파트, 책, 장난감 등 부동산이나 ...
2017.07.07
2016년 알리페이와 위챗페이를 통한 중국 모바일 결제 규모가 2조9천억 달러(한화 3,275조 5,500억 원)에 달했다. 이는 4년 사이 20배가 늘어난 수치로 2012년 당시 당초 예상되었던 2000조 ...
2017.04.25
중국은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2012년부터 모바일 결제시장이 태동해 현재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2015년 10조위안(한화 약 1,644조 4,000억 원), 2016년은 38조위안(6253조원)을 ...
2017.03.17
텐센트 마화텅 회장은 위챗페이 사업부 회의에서 2016년 위챗페이의 오프라인 시장 점유율이 알리페이를 추월해 1위를 차지했다고 언급하며, 이를 기념하는 동시에 직원 상여금으로 1억 위안(약 172억 원)을 ...
2017.01.19
플래텀의 한주간 국내 스타트업 소식 및 중국 테크 소식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