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인사이트

[플래텀 리포트] 중국 승차공유 서비스 발전 동향

‘소유의 시대’에서 ‘공유의 시대’로 전환되며 다양한 공유 경제 서비스가 등장했다. 그 중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게 되는 것이 승차공유 서비스이다.

중국에서는 이미 2010년부터 승차공유 서비스가 출현했고 이미 100여개의 플랫폼이 존재한다. 자국 인터넷 기업, 렌트 기업 뿐만 아니라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까지 대륙 승차공유 서비스 시장에 뛰어든 상황이다. 중국의 승차 공유 서비스는 한국과 달리 큰 저항없이 빠르게 성장했다. 택시 공급 부족 문제 해결과 불법 영업 차량을 합법 영역으로 편입시키는 등 긍정적인 요인이 더 컸다. 이에 더해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중국 정부의 ‘先발전 後규제’ 전략이 공유 경제 다양성과 빠른 시장 안착에 한 몫 했다고 할 수 있다.

중국 승차공유 서비스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며 승차공유 서비스가 나아가고자 하는 미래를 살피고자 한다.

 

플래텀 중국 연구소 소장 / 불편부당(不偏不黨)한 시선으로 중국 현황을 관찰하고 전달합니다.

플래텀 연구원 / 있는 그대로의 중국을 독자와 공유합니다. 한-중 창업자들의 큰 꿈을 응원합니다. / I want to share a perspective of native Chinese so that we could make a wider world together. Dream big with Korean and Chinese startup entrepreneurs, and make the dream come true by trying my best.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글로벌

[중국 비즈니스 트렌드&동향] 알리바바와 관계된 세 가지 이슈

글로벌

[중국 비즈니스 트렌드&동향] 중국 인공지능 기업 ‘센스타임’, 거대 AI 모델 공개

글로벌

[중국 비즈니스 트렌드&동향] 1년 간의 정부 규제에서 벗어난 ‘디디추싱’

글로벌

[중국 비즈니스 트렌드&동향] 디디추싱 뉴욕상장 철회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