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QR 코드 활용 전자출입명부 시스템 본격 시행…네이버 QR코드로 출입

오는 10일부터 정부가 지정한 고위험시설 및 자발적 적용을 신청한 시설 등에 전자출입명부(KI-Pass) 시스템이 도입된다. 의무화 대상은 노래방, 유흥주점 등 정부가 정한 8개 시설이다. 노래방 등의 집단 감염이 유발되는 시설에서 감염자가 발생할 경우 접촉자 추적 및 역학 조사 등에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수집하기 위해서이다.

QR코드는 네이버 앱/웹에서 가능하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 5월 24일 코로나19 역학조사 등을 위해 IT기술을 활용한 전자출입명부 시스템 구축 계획을 발표하고, 7일까지 서울, 인천, 대전의 16개 시설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한 바 있다. 네이버 역시 해당 기간 동안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서비스 안정성과 보안 등을 점검했다.

모바일 네이버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사용법은 간단하다. 미리 로그인한 네이버 앱 또는 웹 우측 상단의 프로필 아이콘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내 서랍’ 기능에서 제공되는 QR 체크인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된다. 최초 이용하는 경우와 월 1회 휴대전화번호 인증만 하면 된다.

또는 네이버 첫화면 검색창 하단에 위치한 배너나 ‘QR코드 전자명부’, ‘QR코드 전자출입명부’, ‘전자출입명부’, ‘QR코드 출입’, ‘QR KI Pass’와 같은 검색어를 입력해도 사용 가능하다. 네이버 앱/웹에서 QR코드 기능을 실행한 뒤, 시설 관리자에게 제공하면 된다.

사용자가 사용한 네이버 앱 전자출입명부 QR코드는 암호화한 뒤 사회보장정보원과 분산해 저장하며, 역학조사가 필요할 때만 방역당국이 두 정보를 합쳐 이용자를 식별하게 된다. 또, 4주 후 자동 폐기된다.

기자 / 제 눈에 스타트업 관계자들은 연예인입니다. 그들의 오늘을 기록합니다. 가끔 해외 취재도 가고 서비스 리뷰도 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트렌드

지갑에서 신분증 사라진다…6대 플랫폼 ‘모바일 신분증’ 일제히 출시

스타트업

네이버, 사업 확장기 스마트스토어 위한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 시작

경제

네이버, AI 탑재 ‘비전 테크 트라이앵글’ 선보여

Uncategorized

AI 쇼핑 강화 효과…네이버플러스 스토어, 구매 전환율 2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