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카카오톡-네이버에서 개인 ‘건강기록’ 확인 가능해진다.

(왼쪽부터) 카카오 신정환 CTO, 보건복지부 이강호 보건산업정책국장, 한국보건의료정보원 임근찬 원장, 네이버 유봉석 서비스 총괄

카카오와 네이버에서 개인 건강기록 확인이 가능해진다.

양사는 30일 오전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의료정보원과 ‘나의건강기록’앱 편의성 개선 및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오는 9월부터 네이버 인증서, 카카오 인증서로 ‘나의건강기록’앱에 로그인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나의건강기록’은 공공기관 건강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조회·저장·활용할 수 있는 앱이다. 병원 진료 이력, 투약 이력, 예방접종 내역, 건강검진 이력 등 다양한 건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진료이력 및 건강검진(국민건강보험공단), 투약이력(건강보험심사평가원), 예방접종이력(질병청) 등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는 건강 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협약 당사자들은 앞으로도 보안관리와 각 기관 발전과 우호 증진을 위해 상호 협력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강호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이번 업무 협약을 계기로 국민들에게 익숙한 민간서비스를 공공서비스에 접목함으로써, 국민이 보다 편리하게 공공기관 건강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라고 말하며, “앞으로 개인 주도로 공공기관 건강정보뿐만 아니라 의료기관 진료기록, 라이프로그까지 활용할 수 있도록 마이 헬스웨이 플랫폼 기반 의료 마이데이터 생태계 조성을 2022년까지 차질 없이 추진해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한국보건의료정보원 임근찬 원장은 “오늘 협약을 통해 ‘나의건강기록’ 앱을 국민들이 보다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하며, 상호협력을 통해 국민의 건강증진과 보건의료 기술 발전에 의미 있는 성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 라고 밝혔다.

카카오 신정환 CTO는 “카카오 인증서가 국민의 건강관리 편의성을 높이고 건강정보 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의료정보원과 긴밀히 협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네이버 유봉석 서비스운영총괄은 “생활밀착형 서비스로 자리매김한 ‘네이버 인증서’를 바탕으로 네이버는 앞으로도 국민 건강 증진 및 의료서비스 혁신을 위해 다양한 공공기관, 의료기관 등과 협업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카카오 인증서 발급자는 6월 기준 1,500만 명 이상이다. 카카오 인증서로 국세청 홈택스(연말정산, 각종 세금 조회 등)와 행정안전부 정부 24(공공증명서 발급 등) 로그인, 국민권익위원회 국민신문고, 관세청 개인통관 고유부호 조회/발급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네이버는 공적 마스크 정보 제공, 전자출입명부 QR체크인 등을 비롯해 지난 5월부터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과 협력해 코로나19 잔여 백신을 당일 예약할 수 있는 ‘우리동네 백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 인증서는 6월 중순 이용자 1,100만 명을 돌파했다.

기자 :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전달하며, 다양한 세계와 소통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 I want to learn about and connect with the diverse world of startups, as well as discover and tell their stories.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Uncategorized

KBO 개막 앞두고 포털사들의 새로운 야구 서비스 경쟁

이벤트

창립 15주년 ‘카카오’, AI 시대 전략 방향 제시

스타트업 이벤트

카카오, 글로벌 인권행사서 디지털 상생 사례 공유

스타트업

네이버, 오늘배송부터 희망일배송까지…고객 맞춤형 배송 서비스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