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인포뱅크, 실종아동, 치매노인 찾아주는 서비스 론칭

인포뱅크의 아이모터스 사업부에서 얼굴인식 기반 비대면 사람 찾기 서비스 ‘찾다(Chatda)’를 론칭했다.

매년 해마다 실종아동 신고수는 약 2만건으로 그 수가 좀처럼 줄어들지 않는다. 정부는 이에 실종 방지 대책으로 코드아담, 실종아동의 날, 지문등록제 등의 정책을 운영해왔으며, 위치추적기와 배회감지기 등 실종방지 제품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장치는 위치추적 오차범위가 있으며, 분실 및 작동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 외에도 아동 실종 신고시 자칫 수사 절차에 긴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추가 사고 발생 확률 또한 높아지는 만큼 실종 아동 발생시 상황의 긴급성을 감안해 신속하게 반응 및 움직일수 있는 기기의 개발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할 것이다. 또한, 최근 노령화로 인해 치매 환자가 증가하면서 치매 환자가 실종되는 사건이 늘고 있다.

‘찾다’는 얼굴인식 기술을 활용한 단계별 대응방식을 통해 실종아동, 치매환자, 노약자 등을 찾아주는 모바일 앱서비스다. 보호대상자의 정보와 얼굴 등 기본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 위급한 상황에 처한 보호대상자를 발견했을 경우 발견자가 위급한 보호대상자의 얼굴인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실종아동이나 위급한 상황의 사람을 발견시 앱을 통해 보호대상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보호자에게 아동의 현재위치를 제공하고 보호자와 통화할 수 있으며, 관할 경찰서로 신고 및 연결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보호자를 찾는 단계가 간소화되어 인도 시간이 향상되며, 빠른 진행에 따른 추가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발견즉시 실시간 보호자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호자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인포뱅크 아이모터스 김인상 대표는 “‘찾다’는 기존의 사전 지문 등록제 등 실종아동 발생시 경찰신고 단일방식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특히 치매를 앓고 있는 어르신이나 정확한 의사 표현이 어려운 분들이 어려움에 처했을 경우에 도움이 되고자 기획한 서비스”라며 “향후 주변 공공기관 및 아동안전지킴이집 등과 협력을 통하여 미등록자도 쉽게 보호자를 찾을 수 있도록 실종아동 및 위급한 사람들에 대한 예방적 서비스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전했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인포뱅크, 키움증권에 ‘AI 업무상담 챗봇’ 구축

스타트업

아이랩, 기업용 AI 협업툴 ‘인세븐’ 론칭

스타트업

인포뱅크, AI 협업 플랫폼 ‘인세븐’ 29일 공식 출시

이벤트

인포뱅크, ‘전북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 활성화 지원사업’ 참가기업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