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회계법인 마일스톤의 스타트업 CFO Case Study] 4000억의 런드리고와 1800억의 크린토피아 재무제표 비교

21년 8월 크린토피아는 1800억 벨류로 사모펀드에게 매각되었습니다. 22년 11월 런드리고는 4000억 벨류를 인정받고 490억 규모의 시리즈C 투자유치를 완료하였습니다. 동일한 ‘세탁서비스’를 런드리고는 비대면 모바일 방식으로, 크린토피아는 프랜차이즈 방식으로 풀어가고 있는 두 회사의 재무제표를 살펴보겠습니다.

1. 지분희석 없이 매각까지한 크린토피아, 대규모 투자유치로 지분희석된 런드리고

21년말 현재 크린토피아 런드리고
최대주주 카사블랑카유한회사 조성우
지분율 100% 33.93%

창업자 이범택 및 특수관계자가 크린토피아를 100% 보유하였으며, 21년 8월 JKL파트너스에 100% 매각하였습니다. 크린토피아는 설립 후 외부투자 없이 성장한 케이스이므로 창업자의 지분희석이 없습니다. 하지만, 런드리고는 투자유치가 많아 지분희석이 많이 된 것으로 보입니다. 런드리고 최대주주는 창업자 조성우이며 지분율은 약 33%입니다. 그 외 주요주주는 산업은행, 알토스벤처스입니다.

2. 납입자본은 런드리고가 50% 정도 많습니다.

(단위 : 억원)

21년말 현재 크린토피아 런드리고
자본금 22 1.4
주식발행초과금 290 489
납입자본 합계 312 490.4

납입자본은 런드리고가 크린토피아보다 53%정도 많습니다. 런드리고의 경우 20년, 21년 각각 157억, 250억 규모 유상증자가 있었습니다. 크린토피아는 이 전 18, 19, 20년은 유상증자가 없었고 21년 인수 이후 100억 유상증자가 있었습니다.

3. 매출액은 크린토피아가 6배 정도 많습니다.

(단위 : 억원)

21년 크린토피아 런드리고
상품매출액 218 1
제품매출액 66
세탁매출액 321 129
사업지원대가수입 144
설비대여수입 36
가맹비수입 10
합 계 795 130

2개 회사의 매출액 규모는 크린토피아가 약 6배 정도 큽니다. 하지만 세탁매출액만 비교하면 런드리고에 비해 2.5배 규모입니다. 매출액 구성 역시 크린토피아가 다양합니다. 크린토피아는 매출액 구성이 총 6개이며 이 중 전체 매출액에서 세탁매출액 비중이 40%입니다. 런드리고의 경우 세탁매출액이 절대적입니다.

(단위 : 억원)

매출액 크린토피아 런드리고
21년 795 130
20년 846 70
전기대비 성장률 -6% 85%

전기 대비 매출액 성장률은 런드리고가 훨씬 좋습니다. 런드리고는 전기 대비 85% 성장하였고 크린토피아는 -6% 역성장 하였습니다.

4. 세탁매출만 보면 매출총이익률은 동일합니다.

(단위 : 억원)

구분 크린토피아 런드리고
매출액 795 130
매출원가 478 110
매출총이익 316 19
매출총이익률 40% 14%

매출총이익률은 크린토피아가 월등히 높습니다. 다만, 크린토피아의 경우 매출액 구성이 세택매출 이외 상품, 제품, 사업지원대가수입, 설비대여수입, 가맹비수입 등이 포함되어 있어 세택매출액이 거의 대부분인 런드리고와 직접 비교하기는 어려울 거 같습니다.

(단위 : 억원)

크린토피아 상품 제품 세탁
매출액 218 65 321
매출원가 144 54 276
매출총이익 74 11 45
매출총이익률 34% 17% 14%

크린토피아 6개 매출 중 상품, 제품, 세탁매출과 관련 매출총이익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크린토피아의 세탁매출총이익률은 14%로 런드리고의 매출총이익률과 동일합니다.

5. 런드리고는 매출액의 26%를 운반비로 씁니다.

(단위 : 억원)

구분 크린토피아 런드리고
매출액 795 130
운반비 9 34
운반비 / 매출액 1.1% 26%

2개 회사의 판관비 중 눈에 띄는 것은 런드리고의 운반비입니다. 매출액 대비 운반비 비중은 약 30% 내외 입니다. 이에 비해 크린토피아의 경우 운반비는 21년 9억 정도로 런드리고에 비해 매우 적습니다. 비대면 모바일 세탁서비스인 런드리고의 비즈니스 모델 특성 상 운반비는 가장 큰 비용 중 하나일 것입니다.

(단위 : 억원)

런드리고 21년 20년
매출 130 70
운반비 34 22
운반비 / 매출액 26% 31%

세탁물을 수거해가고 집에 가져다 주는 서비스에서 운반비는 매출에 직접 연동되므로 판매출원가로 보고 매출총이익을 계산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런드리고 21년 20년
서비스매출 129 69
서비스매출원가 109 47
운반비 34 22
운반비 감안한 매출총이익 (14)

운반비를 감안할 경우 서비스매출총익은 20년은 0원이고 21년으 14억 손실입니다. 쉽게 말해, 현재 기준으로 비대면 모바일 세탁서비스는 수익성이 없다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습니다.

6. 크린토피아의 영업현금흐름은 전기대비 131억 감소하였습니다.

(단위 : 억원)

크린토피아 21년 20년 19년 18년
영업현금흐름 (18) 113 141 124

크린토피아의 영업현금흐름은 과거 18, 19, 20년 모두 100억 이상이었으나 21년에는 영업현금흐름이 -18억으로 전기 대비 131억이나 줄어들었습니다. 살펴보니 당기순익익이 전기 대비 19억 감소한 것도 있겠으나 퇴직금지급이 전기 대비 약 90억이 증가한 것이 가장 큰 원인입니다. 해당 금액은 21년 매각 이후 대표이사가 변경되는 과정에서 지급한 퇴직금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7. 두 회사 모두 전체 자산의 50% 이상이 부동산과 기계장치 입니다.

세탁서비스업에는 대규모 세탁공장이 필수적입니다. 왜냐하면 고객의 세탁물들을 모아서 한 번에 세탁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즉, 부동산, 기계장치 및 시설장치는 필수적 입니다. 주석에 따르면 크린토피아의 경우 성남, 안성, 오산, 김해, 화성 등에 총 6개의 공장이 있으며, 런드리고는 군포에 1곳 있습니다.

(단위 : 억원)

21년말 / 장부가액 크린토피아 런드리고
토지, 건물, 구축물 472 245
기계장치 및 시설장치 73 75
합 계 545 320
자산총액 924 555
비율 59% 58%

런드리고의 부동산 및 기계장치 등 유형자산 대부분은 21년에 취득한 것입니다. 주석에 따르면 21년에 취득한 유형자산 금액인 316억이고 이 중 토지 및 건물을 담보로 200억을 차입하였으므로 나머지 금액은 유상증자 금액에서 충당한 것으로 보입니다.

8. 런드리고는 부동산을 취득하면서 200억의 차입금이 생겼습니다.

(단위 : 억원)

21년말 크린토피아 런드리고
유동성장기차입금 5.7
단기차입금 90
장기차입금 200
합 계 5.7 290

크린토피아의 경우 사실상 차입금이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이에 비해 런드리고는 총 290억원의 차입금이 있습니다. 주석에 따르면 장기차입금 200억은 토지 및 건물을 담보로 빌린 것으로 보입니다. 즉, 21년에 취득한 부동산 매입가액 245억 중 200억은 차입으로 나머지 45억은 유상증자 금액 250억에서 조달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단기차입금 90억은 운영자금 용도로 빌린 것으로 보이고 신용보증기금에서 지급보증을 받고 있습니다.

9. 런드리고는 자회사를 설립하여 무인세탁소 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21년말 크린토피아 런드리고
자회사 없음 런드리24㈜
지분율 N/A 100%
설립연도 N/A 21년
취득금액 N/A 7억
대여금 N/A 11억

크린토피아는 자회사는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런드리고는 런드리24㈜라는 자회사를 설립하여 무인세탁소 사업을 21년에 시작하였습니다. 자회사의 취득가액은 7억이고 자회사에 대여금 11억해서 총 18억 가량이 자회사에 들어갔습니다.

저자 소개 : 회계법인 마일스톤
저자 블로그 : 회계법인 마일스톤 공식 블로그

마일스톤은 스타트업을 위한 회계법인입니다. ‘사업의 시작부터 기업의 정점까지’, 젊고 열정적인 구성원들은 스타트업이 직면하는 다양한 이슈와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합니다. 스타트업 초기부터 엑시트까지 단계별 재무 이슈와 관리 팁을 담은 ‘J커브를 위한 스타트업 재무 가이드북’을 발간하기도 했습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AI 데이터로 본 2025년 봄 세탁 트렌드

트렌드

[회계법인 마일스톤의 스타트업 CFO Case Study] 해외 비상장법인 주식은 세무상 어떻게 평가 해야 할까?

투자

[회계법인 마일스톤의 스타트업 CFO Case Study] 스톡옵션 행사 절차 핵심 요약

스타트업

런드리고, AI스타일스캐너 분석 ‘2024 패딩 소비 트렌드’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