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이직 시 연봉 가장 높은 직군은? 경영⋅비즈니스, 5018만원!

대이직시대, ‘누가, 언제, 어떻게’ 이직하는 걸까?

HR테크 기업 원티드랩이 이직 트렌드를 담은 HR 트렌드 리포트 <리포트 일>에 따르면, 대이직시대의 주인공은 2030 세대, 그중에서도 6년차 이하의 직장인으로 나타났다. 원티드 채용지표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2년까지 원티드 전체 지원건수는 계속 증가했는데, 이 중 6년차 이하 유저의 비중은 63%에 달했다. 구체적으로는 1~3년차(34%), 4~6년차(29%), 7~9년차(17%), 10~12년차(14%), 13~15년차(3%), 15년차 이상(3%) 순이다.

이는 고용노동부 연령대별 평균 근속기간 통계와 상통한다. 해당 통계는 평균적으로 첫 직장에 입사하는 연령을 25~29세로 산정하고, 연령대별 평균 근속기간을 분석했다. 연령별 평균 근속기간은 20대 약 2년, 30대 약 5년, 40대 약 8년, 50대 약 10년 등으로, 2030 세대가 가장 이직이 활발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직이 가장 활발한 시기, ‘이직 시즌’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로 원티드에 등록된 공고수와 합격자수를 분석한 결과, 3월~8월에 채용공고와 합격자 발표가 집중됐다. 이는 연초 연봉 협상 후에 직장인들이 이직을 결심하는 경우가 있고, 특히 이들이 여름휴가 등 길게 연차를 사용할 수 있는 시기를 활용해 면접과 같은 이직 준비를 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여러 조사에 따르면 직장인, 특히 2030 세대의 퇴사 이유 1위는 ‘보수’다 . 즉 연봉이 이직을 결심하게 되는 가장 큰 요인인 것이다. 이에 원티드랩은 연봉 때문에 이직을 고민하는 유저들을 위해 특히 이직자가 많았던 4개 직군별 평균연봉을 분석, 공개했다.

평균연봉이 가장 높은 직군은 경영⋅비즈니스로, 약 5018만원에 달했다. 사업 기획 및 개발 직무와 PM⋅PO 등이 해당 직군에 속한다. 다음으로는 개발 직군(4934만원), 마케팅⋅광고 직군(4388만원), 디자인 직군(4077만원) 순이었다.

또한, 리포트는 원티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적극적으로 이직을 시도하는 직장인’의 기준을 제시했다. 원티드 유저의 연간 평균 입사 지원건수는 13.6회로, 월 한 건 이상 지원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연간 14건 이상 공고에 지원한 경우, 이직에 적극적인 유저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원티드랩의 <리포트 일>은 AI 매칭 채용 서비스 ‘원티드’의 데이터는 물론 다양한 직무·연차의 직장인과 HR 담당자의 심층 인터뷰를 토대로 구성됐다. 이를 통해 최근 이직의 흐름과 전망 등을 담았다.

기자 /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전달하며, 다양한 세계와 소통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 I want to get to know and connect with the diverse world of start-ups, as well as discover their stories and tell them.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원티드랩, 2024년 매출 367억 원… AI 기반 서비스로 HR 시장 공략

이벤트

리모트, 원티드랩과 내달 ‘글로벌 기업 HR 프라이빗 모임’ 개최

스타트업 이벤트

원티드랩, AI 전문기업들과 손잡고 ‘엔터프라이즈 AX 얼라이언스’ 출범

스타트업

원티드랩, AI 특화 ‘원티드 그라운드’ 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