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특허법인 세움] 길세영의 스타트업 IP가이드 #12. 선행기술조사 기초 – 구글 특허(Google Patent) 활용법 2

<스타트업 IP 가이드>의 이번 콘텐츠에서는 지난 구글 특허(Google Patent) 활용법 1 콘텐츠 내용에 이어 더욱 구체적인 조건으로 특허를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구글 특허(Google Patent) – 검색 심화

구글 특허(Google Patent) 초기 화면의 검색창

구글 특허 초기 화면에 나오는 검색창에서 필터 아이콘(상기 그림의 빨간 박스 부분)을 선택하면 다음 화면과 같은 검색창으로 이동합니다. 아래의 검색창을 이용하면, 더욱 구체적인 조건으로 특허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구글 특허(Google Patent) 필터 검색 화면 예시 (1)

상기의 그림을 보면 별도의 팝업 창(Search tools)에서 검색에 필요한 다양한 필드를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란색 박스)

● Text 탭: 검색에 필요한 키워드를 작성. 각각의 단어는 AND로 연결되며, OR 조건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를 이용하여 동의어 입력
● Classification 탭: 특허분류 체계 중 하나인 CPC 분류코드를 활용하여 검색
● Chemistry 탭: 정확한 분자이름 또는 유사한 분자이름, InChl key 등을 이용하여 검색
● Measure 탭: 측정값(mm, feet, ℃/℉, Hz, mol) 등의 값으로 검색
● Numbers 탭: 출원번호, 공개번호, 간행물 번호, 국가 등을 특정해서 검색

또한, 다음의 그림과 같이 인터넷 창 좌측의 필드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검색을 실시할 수도 있습니다.

구글 특허(Google Patent) 필터 검색 화면 예시 (2)

SEARCH FIELD를 이용하면 다음의 조건을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검색이 가능합니다.

● Date: 우선일, 출원일, 공개일에 대한 검색 구간 입력
● Inventor: 검색하고자 하는 발명자명 입력
● Assignee: 양수인 정보 입력
● Patent Office: 검색하고자 하는 특허청 선택
● Language: 검색하고자 하는 언어 선택
● Status: 검색하고자 하는 문헌의 상태(등록, 출원) 선택
● Type: 검색하고자 하는 문헌의 종류(특허, 디자인) 선택
● Litigation: 소송 여부 선택

<스타트업 IP 가이드>에서는 여러 차례에 걸쳐 키프리스(KIPRIS), 구글 특허(Google Patent) 검색을 통하여 기업 실무자가 선행기술 조사를 직접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본 가이드가 기업의 선행기술조사 역량을 높이는 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원문: #12. 선행기술조사 기초 – 구글 특허(Google Patent) 활용법
-글: 특허법인 세움 길세영 변리사

대한민국 부티크 로펌의 선두주자 “법무법인 세움”.
대형 로펌에서 근무하던 변호사들이 스타트업을 위한 제대로 된 법률 서비스를 하기 위해 뜻을 모아 최초의 스타트업 전문 로펌으로 출발했습니다.

올바른 가치관, 견고하게 쌓아온 압도적인 실력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스타트업 생태계의 폭발적 성장에 디딤돌을 놓았으며, 독보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스타트업의 성장 단계와 규모에 따라 신속하고 효율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트렌드

[BLT칼럼] 상표출원, 단 하루만 빨랐어도

트렌드

[이음특허의 스타트업 특허 상표] 골프존 특허 침해한 카카오VX, 매각될 수 있을까?

트렌드

[BLT칼럼] LLM을 활용한 대규모 특허분석 프로젝트의 이상적인 형태는?

트렌드

한국, 유럽 특허 출원 5위 수성…AI·배터리 기술 특허 급증 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