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스타트업 단신] 자비스앤빌런즈, 모두의주차장, 엔츠, 니더

자비스앤빌런즈, 정용수 대표이사 선임

세금 신고·환급 도움 서비스 ‘삼쩜삼’을 운영하는 자비스앤빌런즈가 정용수 최고제품책임자(CPO)를 공동 대표이사로 선임, 김범섭 단독 대표이사에서 김범섭·정용수 각자 대표이사 체제로 전환한다.

자비스앤빌런즈는 보다 공격적인 사업 확장 및 체계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해 지난 7월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대표이사 체제 변화를 결의했다고 밝혔다. 이에 자비스앤빌런즈는 하반기에 각자 대표를 중심으로 더 많은 전문 인력 채용을 통한 조직 강화, 서비스 고도화 및 신규 시장 개척 등 사업 및 서비스 성장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새로 선임된 자비스앤빌런즈 정용수 대표는 삼성전자 MSC OSP 개발팀, LG전자 SBC 개발팀 팀장, 쿠팡 CSC 테크니컬 프로그램 매니저(Technical Program Manager) 등을 거쳐 2019년 자비스앤빌런즈에 합류했으며, 2021년부터 최고제품책임자를 맡아왔다. 당시 기업을 대상으로 한 B2B 시장을 공략하던 자비스앤빌런에서 소비자 대상의 B2C 모델인 삼쩜삼 플랫폼을 기획, 개발부터 서비스 운영까지 진두지휘했다. 또한 자비스앤빌런즈의 기술 역량을 높이고 시스템을 안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해 왔다.

앞으로 김범섭 대표는 신규 사업 발굴 및 시장 개척에 초점을 맞춰 세무 서비스 영역 외에도 고객들이 삼쩜삼 플랫폼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자산 관리 영역의 비세무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전념할 예정이다. 새로 선임된 정용수 대표는 삼쩜삼 플랫폼을 중심으로 세무 프로덕트 연구 및 개발에 중점을 두고 세무 서비스 고도화 및 고객을 위한 새로운 서비스 개발, 세무대리인과의 협업 서비스 개발 등에 역량을 쏟을 예정이다. 경영 및 IPO 준비 등의 전반적인 회사 운영은 공동으로 맡는다.

정용수 대표는 “자비스앤빌런즈는 ‘고객 부의 증진’이라는 미션을 바탕으로 고객을 위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회사”라며 “자비스앤빌런즈의 대표이사가 된 것을 매우 영광스럽게 생각하고, 세무 혁신에 대한 사명감과 책임감을 잊지 않고 서비스에 구현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조직의 잠재 역량을 극대화함으로써 김범섭 대표 및 구성원들과 함께 납세자와 세무대리인 모두를 위한 삼쩜삼 플랫폼을 만드는 데 집중할 것”이라는 포부도 밝혔다.

김범섭 대표는 “정용수 대표는 삼쩜삼 서비스 최초 기획 단계부터 개발까지 모든 과정에 관여하여 이해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향후 회사와 서비스 발전 방향에 맞춰 함께 업무를 추진할 수 있는 최적의 인물이다”라며 “자비스앤빌런즈는 대표적인 세무 혁신 기업으로서의 내실을 다지는 동시에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 만족과 신뢰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모두의주차장, ‘주차장 밸류업 서비스’ 출시 3개월… 신청 2천건

모빌리티 혁신 플랫폼 쏘카의 온라인 주차 플랫폼 모두의주차장이 지난 4월 선보인 ‘주차장 밸류업 서비스’가 출시 3개월 만에 신청 2,000건을 기록했다.

주차장 밸류업 서비스는 지난 10년간의 온라인 주차 플랫폼 모두의주차장을 운영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전문가들이 소규모의 주차면에서부터 일반 주차장, 주차타워, 나대지(공터) 등 모든 종류의 주차장에 대한 수요데이터, 입지 분석 등을 진행하고 유휴 주차면을 최소화하는 수익 모델까지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상품이다.

출시 이후 3개월간 서비스를 신청한 지역은 수도권 60%, 비수도권 40%로 나타났다. 수도권 중 서울 지역이 43%로 타 지역 대비 높은 편이었으며, 도입 이후 2배 이상 높은 추가 수익을 올렸다. 강남구의 경우 서비스를 통해 맞춤형 상품 도입으로 주차 1면 당 월 28만원의 추가 수익을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신청 문의가 많은 지역으로는 서울 강남구, 송파구, 마포구, 관악구, 서초구 순으로 나타났고, 신청 이후 상품 도입이 진행된 지역에는 서울 강남구, 송파구, 은평구, 종로구, 마포구, 부산 동래구 등이 포함되었다. 이밖에 인천, 대구, 대전 등의 지역에서도 계약 진행이 타 지역대비 높은 편이었다.

신청 주차장 유형은 빌라, 오피스텔, 상업 부설주차장, 나대지 순으로 나타났다. 용산역 부근에서 1,035면의 주차 공간을 확보한 주차장은 서비스 도입 이후 월 평균 거래액이 4천만원 이상 증가하였으며, 합정역 인근에서 571면의 주차공간을 보유한 주차장은 월 평균 3천 7백만원 이상의 월 평균 거래액이 신규로 창출되었다. 광명역 인근 대형 주차장에서도 3천 2백만원 이상 월 거래액이 증가하여, 대형 주차장에도 밸류업 서비스를 통한 맞춤 상품 도입이 추가 매출 창출에 큰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를 통해 본인 소유의 주차면을 쏘카존으로 활용하는 케이스도 많았다. 지난 3개월간 서울 봉천동, 마곡동, 신사동, 역삼동, 방이동 등에 위치한 주차장에 총 189대의 쏘카 카셰어링 차량이 배치되었다. 유휴 주차면 내 쏘카존 도입을 통해 유휴면을 최소화하고, 카셰어링 이용자의 유입이 늘어나 상권형성에도 큰 도움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김동현 모두의주차장 대표는 “주차장 밸류업 서비스 출시 3개월만에 2,000건 이상 신청이 이뤄진 것은 본인 소유 주차장 혹은 면에 대한 추가 수익 창출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라며, “앞으로 소유주와 이용자의 편의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와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선보여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최선을 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모두의주차장은 지난 2013년부터 주차장 정보 안내, 주차 제휴, 스마트파킹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500만 건의 앱 다운로드와 회원 수 350만명을 보유한 국내 최고의 온라인 주차 플랫폼이다. 현재 전국 5만 개의 주차장 정보와 1만 8천의 공유주차장 및 2천 1백여 개의 제휴주차장을 서비스하고 있으며, 공영 및 민영 주차장 뿐 아니라 쇼핑몰, 음식점 등 목적지 주변에 주차가 가능한 공간을 확인하고 제휴주차장 이용권을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B2B 탄소회계 솔루션사 엔츠, ‘신한 오픈이노베이션 7기’ 최종 우수협업팀으로 선정

탄소중립 플랫폼 제공 기업 엔츠가 ‘신한 오픈이노베이션 7기’ 최종 행사에서 신한금융그룹 ESG기획팀이 선정한 우수협업팀으로 선정됐다.

신한 오픈이노베이션은 스타트업 육성 플랫폼 ‘신한 스퀘어브릿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우수한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한 스타트업과 혁신을 지향하는 대-중견기업 간의 협업을 지원하는 상생형 프로그램이다.

엔츠는 이번 ‘신한 오픈이노베이션 7기’ 프로그램에서 신한금융그룹 ESG기획팀과 협업하여 탄소회계 SaaS를 활용한 탄소배출량 측정 및 감축 방안을 논의하였고, 신한 스퀘어브릿지 동문기업과의 PoC를 수행하여 우수협업팀으로 선정되었다.

엔츠 박광빈 대표는 “’신한 오픈이노베이션 7기’를 통해 신한금융그룹 ESG기획팀과 협업의 기회를 얻었고, 우수 협업팀에 선정되어 매우 기쁘다”며, 엔츠는 앞으로도 기업 고객이 국제적 표준에 근거한 탄소 배출량의 정확한 산정과 탄소 정보 공개, 감축 로드맵 수립 등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개발에 힘쓸 것”이라 소감을 밝혔다.

한편, 엔츠는 21년 설립된 이후 탄소배출량 측정 및 관리에 관한 전문성과 기술력을 인정받아 23년 2월 인비저닝파트너스, 스마일게이트로부터 시리즈A 투자를 유치하였고, 국내 다양한 규모와 업종의 기업에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니더, 기업 채용 제휴사 전년비 2배 상승…외식 프랜차이즈까지 확대

CU, GS25이어 전국 써브웨이 매장에도 구인 구직 매칭 서비스 ‘급구’가 도입된다. 단기직 채용이 늘어나면서 급구를 통한 구직은 물론 기업 제휴도 대폭 증가했다.

종합 인력 관리 서비스 스타트업 니더가 1위 샌드위치 프랜차이즈 써브웨이와 제휴를 맺고 ‘써브웨이X급구’ 원스톱 채용 서비스를 시작한다. 전국 540개 이상 써브웨이 가맹점은 단기 스태프가 필요할 경우 급구를 통해 평균 30분 내에 가맹점의 거리, 근무 조건 등에 최적화된 인력을 추천받고 채용할 수 있다. 최소 1시간부터 근무 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당일 출근도 요청할 수 있어 매장 운영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인력을 수급할 수 있다.

니더는 지난 2020년 전국 CU 편의점을 시작으로 GS25, 배민B마트, 에버랜드 등 단기 인력 수급이 필수적인 기업들과 제휴를 빠르게 확대했으며, 그 경쟁력을 인정받아 지난해 12월 국내 대표 HR 기업 원티드랩으로부터 시리즈B 투자를 받은 바 있다. 니더의 전년대비 기업 채용 제휴사는 2배 이상 늘어났으며 이는 최저임금 상승과 인력난으로 인한 단기 채용 서비스 수요 확대 및 해당 기업들의 경력을 보유한 구직 인력 풀을 확보 하기위한 노력으로 풀이된다.

급구는 채용 공고부터, 근로계약, 인건비 결제, 신고까지 간소하게 연결하여 채용에 불필요한 시간과 신고업무 절약 가능하다. 편의점과 외식 프랜차이즈의 경우 잦은 결원 발생을 일원화된 급구 시스템 내에서 빠르게 해결할 수 있으며, 구직자의 경우 시간제 및 단기간 알바를 통해 필요한 만큼 원하는 시간에 일할 수 있다.

니더 신현식 대표는 “급구는 AI 추천기반의 인재 매칭에서 더 나아가, 지난달 국내 최초로 1시간 임금 지급, 사업자 임금 카드 결제를 도입하며 단기 채용 서비스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 나가고 있다”며 ”기업 제휴를 통해 채용 시장의 구인난을 구직자의 경력데이터를 활용한 연결을 통해 구인난을 해소해, 업계에 꼭 필요한 서비스로 자리잡겠다”

한편, 급구는 모바일 앱에서 구인과 구직, 인력 채용과 관리까지 한번에 가능한 앱 서비스로, 구직자의 경력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채용 기능 및 임금의 카드결제를 통화 임금을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임금 카드결제 기능을 제공 중이며, 구직자에게는 더욱 빠르게 임금을 받을 수 있는 즉시지급 기능을 제공 중에 있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삼쩜삼, 첫 팝업스토어로 브랜드 이미지 강화

스타트업

삼쩜삼, ‘13월의 월급’ 연말정산 계산기 오픈

스타트업

급구, 임금간편결제로 월 매출 160% 급증

스타트업

모두의주차장, ‘노는’ 거주자우선주차면 9천여개‘공유 주차장’으로 탈바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