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nTalk

무라카미 하루키, 마라톤이 만들어낸 문학적 영감과 집중력

ⓒHaruki Murakami

일본의 저명한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는 자신의 문학적 창작 과정에서 달리기가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여러 차례 언급해왔다. 그의 회고록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그가 달리기를 통해 얻은 삶의 철학과 작가로서의 내면을 솔직하게 풀어낸 작품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달리기가 단순한 신체 활동을 넘어, 인간의 내면을 탐구하고 삶의 의미를 되새기는 도구가 될 수 있음을 깨닫게 된다.

무라카미는 1982년부터 마라톤을 시작하여, 이후 매일 꾸준히 달리기를 실천하고 있다. 그는 “매일 같은 시간에 일어나 일정 시간을 달리는 것이 규칙적인 생활 습관을 유지하게 해준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규칙성은 그의 글쓰기 루틴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소설 쓰기를 ‘육체노동’이라고 표현하는 그는, 체력과 집중력, 지구력을 키우기 위해 혼자서 할 수 있는 운동인 달리기를 선택했다. 어릴 적부터 즐겨왔던 달리기는 그에게 자연스러운 선택이었다.

그의 작품들은 종종 내면의 탐구와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다루는데, 이러한 주제들은 그가 달리기를 하면서 얻은 사색의 결과로 보인다. 그는 “달리기는 나에게 명상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달리기를 통해 그는 자신의 내면과 대화하고, 작품의 영감을 얻는다. 달리는 동안의 고독과 반복적인 움직임은 그의 창작 과정에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건강법이나 운동 방법을 논하는 책이 아니다. 대신, 자신에게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가진 ‘달리기’를 중심으로 삶과 문학에 대한 진솔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그는 달리기를 통해 얻은 경험과 깨달음을 독자들과 공유하며, 이를 통해 삶의 목표를 설정하고 실천하는 데 있어 필요한 자세를 전달한다.

무라카미는 전업 소설가로 살아가기 위해 결심한 후 달리기를 시작했으며, 그 이후 단 한 번도 쉬지 않고 매일같이 달려왔다. 그는 꾸준히 달린 것이 자신의 성공 비결이었다고 밝힌다. 달리기를 통해 키운 체력과 집중력, 지구력이 없었다면, 지금의 작품들은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한다. 오늘날 그의 작품들은 약 40여 개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 독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그는 해마다 강력한 노벨상 후보로 거론되며, 마라토너로도 유명하다. 많은 운동 중에 하필 달리기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그는 솔직하게 털어놓는다. 소설 쓰기는 장시간의 집중과 체력을 요구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이를 뒷받침해줄 수 있는 운동이 필요했다. 달리기는 혼자서도 할 수 있고, 특별한 장비나 시설이 필요 없으며, 무엇보다도 자신과의 싸움이라는 점에서 그의 성향에 잘 맞았다.

또한 무라카미는 달리기를 통해 얻은 깨달음을 문학적 창작 과정과 연결시킨다. 그는 소설 쓰기와 마라톤이 많은 면에서 유사하다고 말한다. 둘 다 장시간의 집중과 인내를 필요로 하며, 때로는 고독과의 싸움이기도 하다. 마라톤에서 한 발 한 발 나아가듯이, 소설 역시 한 문장 한 문장을 쌓아가며 완성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는 자신을 끊임없이 관찰하고 조율하며, 최상의 결과물을 만들어낸다.

특히 그는 달리기를 하면서 얻은 사색의 시간을 소중하게 여긴다. 현대 사회에서 끊임없이 쏟아지는 정보와 자극 속에서, 달리기는 그에게 고요한 내면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 고독한 시간은 그의 창작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며, 그의 작품들이 깊은 내면의 탐구를 담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 책은 문학도와 러너뿐만 아니라 인생의 목표를 설정하고 실천하려는 모든 이들에게 교훈을 준다. 마라톤 풀코스를 완주하며 얻은 성취감과 그 과정에서의 고통은 그의 작품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그는 달리기를 통해 얻은 인내와 끈기가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어떻게 발휘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번역문학가 임홍빈은 “하루키의 회고록은 그의 사생활을 드러내며, 작가로서 필요했던 체력과 집중력, 지구력을 길러온 과정을 생생하게 기록하고 있다”고 평했다. 요미우리 신문은 “풀 마라톤과 소설 쓰기의 유사성 속에서 인간의 본질이 드러난다”고 평가했고, 아사히 신문은 “달리기에 대한 기백이 느껴진다”고 평했다. 산케이 신문 역시 “깊이가 넘치는 문장이 가슴에 와닿는다”고 전했다.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읽는 이로 하여금 달리고 싶은 마음이 들게 하는 매력적인 책이다. 무라카미는 달리기를 통해 얻은 깨달음과 경험을 솔직하고 담백한 문체로 전달한다. 그의 이야기는 특별한 기술이나 지식을 요구하지 않지만, 그 안에는 삶을 대하는 진지한 태도와 성찰이 담겨 있다.

이 책을 통해 무라카미 하루키가 독자에게 전하고자 하는 달리기의 의미는 단순히 신체의 건강을 위한 운동이 아니라, 자신과의 대화를 통해 내면을 성장시키는 과정이다. 달리기는 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향해 꾸준히 나아가는 행위이며, 그 과정에서 자신을 깊이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된다. 그는 달리기를 통해 얻은 인내심과 집중력이 삶의 다른 부분에서도 큰 도움이 되었음을 강조한다.

무라카미의 경험은 우리에게 꾸준함의 중요성과 자기 자신과의 약속을 지키는 것이 얼마나 큰 성과를 가져오는지를 보여준다. 달리기를 통해 그는 자신만의 리듬과 호흡을 찾았고, 이는 그의 문학 세계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독자들은 그의 이야기를 통해 자신만의 ‘달리기’, 즉 삶의 의미를 찾아나가는 여정을 떠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책은 무라카미가 작가로서, 그리고 인간으로서 겪은 다양한 경험과 감정을 담고 있다. 그는 마라톤 대회에서의 실패와 성공, 나이를 먹어가며 느끼는 신체적인 변화, 그리고 그에 따른 마음가짐의 변화를 솔직하게 이야기한다. 이러한 고백들은 독자들에게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우리 모두가 겪는 삶의 과정에 대한 이해를 넓혀준다.

그는 “인생은 긴 거리 달리기와 같다”고 말한다. 목표를 향해 꾸준히 나아가며, 때로는 어려움에 부딪히고, 또 때로는 예상치 못한 성취를 이루기도 한다. 중요한 것은 포기하지 않고 자신의 리듬을 유지하며 계속 달려가는 것이다. 이 메시지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큰 울림을 준다.

마지막으로, 무라카미는 달리기를 통해 얻은 깨달음이 자신의 문학 세계를 풍부하게 만들었다고 말한다. 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고독감, 내면의 성찰, 인간 관계의 복잡성 등은 모두 그가 달리기를 하며 체득한 삶의 진리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책은 그의 문학을 이해하는 데에도 큰 도움을 준다.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단순한 에세이를 넘어, 삶과 예술, 그리고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은 통찰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진솔한 목소리를 통해 우리는 달리기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고, 그것이 우리 삶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생각해보게 된다.

결론적으로, 무라카미 하루키가 독자에게 전하고자 하는 달리기의 의미는 꾸준함과 인내를 통한 자기 성찰과 성장이다. 달리기는 그의 삶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통해 그는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했다. 그의 이야기는 우리에게도 자신만의 길을 찾아 나아가는 용기와 끈기를 불어넣어준다.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개인적인 경험을 넘어, 우리 모두에게 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그것은 바로 자신에게 솔직하고, 꾸준히 노력하며, 삶을 진지하게 대하라는 것이다. 이 책은 단순한 회고록이 아니라, 삶의 지침서로서 독자들에게 울림을 준다. 싶은 마음이 들게 하는 매력적인 책이다.

원문 : 무라카미 하루키, 마라톤이 만들어낸 문학적 영감과 집중력

함께 달리고, 소통하는 러닝 전문 미디어 ‘런톡(RunTalk)’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트렌드

“완주를 위한 현명한 페이스, 42.195km의 창업을 위하여”

트렌드

“불확실성의 길 위에서” 마라톤과 스타트업

RunTalk

영화 ‘레이스’ 제시 오웬스의 도전과 승리 그리고 손기정

RunTalk

파리 올림픽 여자 마라톤 상위 10명이 신은 런닝화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