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경영자총협회,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중앙회와 공동으로 ‘제1회 대한민국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 시상식’을 개최하고, 일과 생활의 균형을 성공적으로 실현한 203개 기업을 선정해 격려했다. 이번 시상식은 일터의 성과와 삶의 행복을 동시에 추구하는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들의 성과를 널리 알리고, 이를 모범 사례로 확산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이번 시상식에서 선정된 우수기업들은 일과 육아 병행, 유연근무, 근로시간 단축 및 휴가 제도에서 모범적인 사례를 보인 기업들로, 세무조사 유예, 출입국, 기술보증 및 신용보증, 조달 우대 혜택을 받게 된다. 총 385개 기업이 신청하였으며, 전문가 및 관련 부처, 경제단체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의 엄격한 심사를 거쳐 최종 203개 기업이 선정되었다.
일례로, 폴라리스오피스(근로자 수: 158명)는 임신부 지원 프로그램과 육아휴직 복직율 100%를 달성하며 모범 사례로 꼽혔다. 재택근무와 선택근무를 통해 직원들이 근로 상황에 맞게 일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에이치디현대마린솔루션(근로자 수: 559명)은 국내 최고 수준의 직장 어린이집을 운영하며 임신과 출산을 위한 전 주기적 지원을 제공한다. 특히, 임신 초기 재택근무와 출산축하금 1,000만 원 지급 등 세심한 지원을 통해 직원들이 안정적으로 일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토마스(근로자 수: 17명)는 사내 키즈룸을 설치하여 자녀와 함께 출근이 가능하게 하는 등, 직원들의 육아 부담을 덜어주는 정책을 도입하였다. 자녀가 있는 근로자가 89%에 달하며, 출산 후 직장 복귀율 역시 100%를 기록하고 있다.
지오시스템리서치(근로자 수: 196명)는 출산휴가 외에도 입양 휴가 20일을 지원하고 있으며, 자녀 출산 시 축하 경조금을 지급하는 등, 가족친화적 기업문화를 조성하고 있다. 특히, 배우자 출산휴가 활용률이 95%에 달하며, 남성 육아휴직 활용율도 24%로, 남성 직원들의 제도 활용이 두드러진다.
또한, 유연근무제를 도입해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기업들도 있다. 극동에너지 주식회사(근로자 수: 15명)는 태양열 및 태양광 발전소 시공의 특성상, 하절기에 출퇴근 시간을 조정해 근로자 만족도를 크게 높였다. 현재 시차출퇴근제 활용률은 100%에 이르고 있다.
태조엔지니어링(근로자 수: 337명)은 자율근무제를 통해 직원들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도 도입 이후 매출 및 근로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근로시간 단축을 통해 직원들의 만족도를 높인 기업도 주목받았다. 뉴라이즌(근로자 수: 41명)은 창업 초기부터 주 4일, 하루 7시간 30분 근무제를 도입해 꾸준한 매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그레이드헬스체인(근로자 수: 25명) 역시 하루 6.5시간 근무를 통해 직원들의 자율성과 건강을 동시에 고려한 근무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시상식에서는 시상 외에도 노사정이 함께하는 일‧생활 균형 사회의 중요성을 알리는 홀로그램 퍼포먼스가 진행되었다. 중소벤처기업부 김성섭 차관은 “저출산 고령화라는 인구위기 상황에서 정부와 기업, 사회 모든 구성원이 일‧생활 균형을 위해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야 할 시점”이라며, “앞으로 중소기업계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중소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지원방안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4 대한민국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 명단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