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ategorized

작년 창업기업 483만개 육박, 기술기반 스타트업이 이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16일 발표한 ‘2022년 창업기업실태조사’ 결과, 지난해 우리나라 창업기업 수가 482만 9665개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6.2% 증가한 수치로, 전체 중소기업(804.3만개)의 60.1%에 달하는 규모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기술 기반’ 창업이 꾸준한 상승세를 타고 있다는 것이다. 제조업과 지식서비스업을 아우르는 기술기반 창업기업은 96만 5천여 개로, 전체 창업기업의 20%를 차지했다.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보건·사회복지서비스(20.2%↑), 정보통신업(14.4%↑),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10.6%↑) 등에서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수적으로는 전체 창업기업의 5분의 1에 불과하지만, 고용과 매출 측면에서는 훨씬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전체 창업기업 종사자의 30.3%(257만 8천여 명), 매출액의 27.9%(331조 4천억 원)를 차지한 것. 1인당 평균 매출액으로 따지면 비기술기반 기업들을 크게 앞지르는 셈이다.

창업 현장의 목소리는 더욱 흥미롭다. 창업자 10명 중 8명이 넘는 83.3%가 “직장 경험을 살려 창업에 도전했다”고 답했다. “왜 창업을 선택했느냐”는 질문에는 “더 큰 경제적 수입을 위해”(65.0%)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적성에 맞는 일이라서”(49.9%), “장기 전망이 유리해서”(22.6%), “자유로운 근무 환경을 위해”(17.1%) 등이 뒤를 이었다.

하지만 창업 과정에서 넘어야 할 산도 여전히 높다. 절반이 넘는 창업자들이 ‘자금 확보'(50.3%)를 가장 큰 걸림돌로 꼽았다. ‘실패에 대한 두려움'(46.0%)과 ‘창업 지식·능력·경험 부족'(34.7%)도 주요 장애 요인으로 지목됐다. 평균 창업자금은 2억 300만원으로 집계됐는데, 대부분(95.1%)은 자기자금으로 충당했다. 은행 대출(31.3%)이나 개인 간 차용(11.8%)도 활용됐지만, 정부 지원(11.0%)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차지했다.

고용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감지됐다. 창업기업의 전체 종사자 수는 851만 5천여 명으로, 전년 대비 16.3%나 증가했다. 1개 기업당 평균 1.8명을 고용한 셈이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31.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50대(27.0%), 30대(23.6%)가 그 뒤를 이었다.

재무건전성도 개선됐다. 평균 자산은 4억 8천만원으로 전년(5억 5천만원)보다 줄었지만, 자본 비중은 39.3%로 늘어났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5.8%)과 당기순이익률(4.9%)도 소폭 개선됐다. 해외 진출을 경험한 창업기업도 3.1%로 전년(2.8%)보다 늘었다.

한편 이번 실태조사는 통계청의 ‘2022년 기준 기업통계등록부’를 전수 분석하고, 8,031개의 표본 기업을 추가 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기자 /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전달하며, 다양한 세계와 소통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 I want to get to know and connect with the diverse world of start-ups, as well as discover their stories and tell them.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중기부, 5조원 추경예산…”소상공인과 중소기업 살린다”

이벤트

글로벌펀드 2억 달러 조성…중기부, 실리콘밸리서 한국 스타트업 미국 진출 지원 강화

이벤트

KSC, 글로벌 스케일업에 도전할 창업기업 모집

이벤트

중기부, 스마트제조 기술 공급기업 950개사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