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록체인 전문 기업 람다256이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기술의 융합을 촉진할 새로운 기능을 선보였다. 두나무의 자회사인 람다256이 자사 웹3 인프라 플랫폼 ‘노딧(Nodit)’에 AI 에이전트를 위한 ‘노딧 블록체인 MCP(Model Context Provider)’ 기능을 출시했다.
이번에 출시된 MCP는 블록체인 데이터를 챗GPT, 클로드(Claude)와 같은 대형 언어 모델(LLM)이 직접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하는 기능이다. 기존 Web3 API가 개발자들의 수동 구성을 필요로 했던 것과 달리, MCP는 온체인 데이터를 문맥(Context) 단위로 구조화해 AI 시스템이 즉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람다256에 따르면, 이 기술은 블록체인 데이터 활용의 진입 장벽을 크게 낮추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들은 복잡한 코딩 없이 텍스트 기반 질의만으로 지갑 활동, 트랜잭션 내역, NFT 정보 등을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됐다. 현재 MCP는 노딧이 제공하는 모든 Web3 Data API 및 Node API를 기반으로 작동하며, 이더리움, 앱토스, 베이스, 아비트럼, 아발란체를 비롯해 비트코인, 도지코인, 트론, XRPL 등 주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람다256의 남기훈 CTO는 “노딧 MCP는 AI가 블록체인 지갑이나 거래 내역, 트랜잭션 패턴 등을 이해하고 요약하거나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블록체인 기반 챗봇, 스마트 에이전트, 자동화 서비스 등을 개발하는 AI 빌더 및 데이터 분석가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람다256은 앞으로도 웹3 인프라 제공을 넘어 AI 서비스 제공자들이 필요로 하는 수준의 블록체인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노딧은 MCP 외에도 블록체인 노드 인프라, 실시간 Web3 데이터 API, Webhook 및 gRPC 기반의 이벤트 스트리밍 등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고성능 도구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MCP 출시를 통해 노딧은 블록체인과 AI 간의 인터페이스 시장을 선점하고, Web3 데이터 활용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도한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