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스타씨드, AI 기반 ‘사용자 맞춤형 기사 작성’ 특허 3건 취득… 퓰리처 AI 기술력 강화

AI 기반 글로벌 PR 자동화 SaaS ‘퓰리처 AI’ 개발사 스타씨드가 대형 언어 모델(LLM)을 활용한 ‘사용자 맞춤형 기사 작성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특허를 취득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특허는 사용자의 피드백 데이터를 분석해 선호하는 글의 방향성, 키워드, 문체, 톤 등을 학습한 후, 단순한 원시 데이터(raw data)만으로도 사용자 성향에 맞춘 정밀한 기사를 LLM을 통해 자동 생성하는 기술이다. 직관적인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바탕으로 LLM의 활용도를 극대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최소한의 입력으로도 높은 품질의 기사를 작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스타씨드는 해당 기술을 자사 서비스인 퓰리처 AI에 적용해, 실제 사용자들의 피드백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고 자연어처리(NLP) 기반 키워드 추출 및 머신러닝 개인화 모델을 통해 사용자 취향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 축적·분석 방식은 PR 콘텐츠 생산의 효율성과 품질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접근법이다.

특히, AI 에이전트와 LLM이 긴밀하게 연동되어 단순 텍스트 생성에 그치지 않고 예측 기반의 피드백 생성까지 가능하다. 사용자는 객관식이나 수치화된 세부 정보와 같은 간단한 선택형 정보만 입력하면 되도록 설계되어, 입력 부담은 최소화하면서도 콘텐츠의 정밀도는 높였다.

최종 생성된 결과물은 보도자료, 뉴스 기사 등으로 완성되어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전달되며, 추가 피드백 또한 다시 학습에 반영되어 모델 성능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킨다. 또한, 국가, 언어, 분야, 정치적 성향 등 다양한 조건에 기반해 기사 스타일에 맞는 언론사를 자동 추천·매칭하는 기능도 포함되어 있어, 같은 언어권은 물론 다른 언어권 언론사들의 스타일에 맞춘 글로벌 PR이 가능하다.

손보미 스타씨드 대표는 “이번 특허는 퓰리처 AI가 각 사용자의 고유한 스타일과 목적에 최적화된 진정한 ‘맞춤형 PR 파트너’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기술적 전환점”이라며 “앞으로도 기술 고도화를 통해 더 많은 기업과 창작자들이 홍보 업무 부담을 줄이고, 데이터 기반의 효율적인 1:1 PR 시대를 이끌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스타씨드는 2024년 5월 벤처스퀘어로부터 프리시드 투자를 유치했으며, 최근 스타트업얼라이언스가 발표한 ‘2025 생성형 AI 스타트업맵’에 선정됐다. 퓰리처 AI는 보도자료 작성·배포, 기자 매칭, 이메일 초안 생성, 글로벌 뉴스 클리핑, 다국어 지원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해 스타트업부터 중견·대기업, 공공기관까지 폭넓은 고객층의 홍보 업무를 지원하고 있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스타씨드, 자연어 명령만으로 PR 업무 처리 가능한 ‘퓰리처 AI’ 고도화

트렌드

[BLT칼럼] 상표출원, 단 하루만 빨랐어도

트렌드

[이음특허의 스타트업 특허 상표] 골프존 특허 침해한 카카오VX, 매각될 수 있을까?

트렌드

[BLT칼럼] LLM을 활용한 대규모 특허분석 프로젝트의 이상적인 형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