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달파, 맥락 이해하는 ‘AI 뉴스클리핑 에이전트’ 출시

단순 키워드 매칭 넘어 비즈니스 상황 반영…주당 8-10시간 업무 절약 효과

AI 에이전트 스튜디오 달파가 기업용 뉴스클리핑 솔루션을 공식 출시했다.

달파 AI 뉴스클리핑 솔루션은 단순 키워드 매칭을 넘어, 비즈니스 상황과 키워드 간 맥락까지 이해하는 뉴스 분류 기술과 즉시 활용 가능한 맞춤형 리포트 자동화 기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철강’ 키워드를 설정한 기후산업 고객사에는 ‘기후 변화와 철강 업계의 규제 영향’ 등 관련성 높은 기사만 선별되며, ‘건설 수요 증가로 철강 실적 개선’과 같은 비관련 기사는 자동으로 걸러낸다.

또한 기사별로 중요 문장 추출 기반 요약을 제공하며, 필요 시 LLM 기반 생성형 요약도 지원한다. 해당 기능은 주간·월간 단위의 전략 리포트 자동 생성 기능과 연동돼, 보고서 작성 업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보고서는 슬랙, 이메일, 노션 등 사내 협업툴과 API 연동할 수 있고, 특정 기관이나 조직의 보고서 제출 양식에 맞춰 커스터마이징할 수도 있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뉴스의 수집과 번역 및 요약 기능도 지원한다.

달파 솔루션은 도입 후 1주 내 고객 맞춤형 커스터마이징이 완료되어 빠른 현업 적용이 가능하다. 달파는 사전 테스트 단계에서 솔루션 도입 시 뉴스 수집 및 리포트 작성에 주당 8-10시간 상당의 반복 업무를 줄이는 효과를 확인했다.

전체 의뢰 고객사 가운데서는 특히 금융권 및 리서치, 전략 조직의 수요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권의진 달파 공동대표는 “실제로 고객사마다 원하는 리포트의 형태나 뉴스 문맥을 이해하는 기준이 모두 달라, 뉴스클리핑에서는 ‘커스터마이징’이 가장 중요한 경쟁력”이라며 “달파는 이 부분에서 가장 정교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달파는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맞춤형 AI 에이전트를 제작·제공하고 있으며, 제조·유통·교육·콘텐츠 등 다양한 업종에서 AI 컨설팅 중심의 B2B 비즈니스를 확대하고 있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자버, AI가 메시지 생성·발송하는 ‘메시징 AI 에이전트’ 출시

글로벌

트럼프 “AI에 마르크스주의 광기 원치 않아”…연방 조달서 ‘Woke AI’ 배제

스타트업

한국투자증권, 네이버 AI 음성인식 ‘클로바 스피치’ 금융권 첫 도입

Uncategorized

카카오, 국내 최초 MoE 모델 등 AI 언어모델 2종 오픈소스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