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2030 대신 5060! 카페 시장의 ‘새로운 큰손’

핀테크 기업 핀다의 AI 상권분석 플랫폼 ‘오픈업’ 분석 결과, 국내 카페 소비의 중심이 2030세대에서 5060세대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060세대가 경기 불황 속에서도 강력한 구매력을 증명하며 카페 시장의 새로운 ‘큰손’으로 떠오르는 모양새다.

2019년부터 2025년까지 7년간 전국 카페 소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25년 상반기 국내 카페 결제액은 약 3조 5,14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86% 감소했다. 이러한 전반적인 소비 감소 속에서도 50대 이상 소비자의 결제 비중은 전체의 31%를 차지하며,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상반기(17.3%)보다 80% 가까이 증가했다.

반면 2030세대의 결제 비중은 44.9%로 절반을 밑돌았으며, 이는 2019년 상반기(61.6%)보다 27% 감소한 수치다. 연령대별 결제액 순위 역시 30대, 40대, 50대, 20대, 60대 이상 순으로 나타나 5060세대의 높은 소비 비중을 확인시켰다.

50대 이상 소비자의 결제액 규모는 1조 892억 원을 기록하며 2019년 상반기 대비 215% 급증했다. 같은 기간 2030세대의 결제액 증가율(28%)과 크게 대비되는 수치다. 특히 2025년 상반기 전체 카페 결제액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50대 이상 카페 결제액은 전년 대비 1.8% 증가했다. 50대 소비액이 소폭 감소(-2.0%)한 것과 달리, 60대 이상에서는 9.19%의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2030세대의 카페 결제액은 전년 대비 10.5% 감소했다. 특히 20대와 30대가 각각 15.8%, 6.84%의 감소율을 기록했으며, 20대 결제액(6,054억 원)은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상반기보다도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핀다 관계자는 “가처분소득 감소로 지갑을 닫는 2030세대와 달리, 경제력과 높은 인구 비중을 갖춘 5060세대가 강력한 소비 주체로 떠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플래텀 에디터 / 스타트업 소식을 가감 없이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핀다, ‘내 집 대출한도 계산기’ 업데이트

스타트업 트렌드

DSR 규제 강화 앞두고 고신용자 2금융권 대출 증가

스타트업

핀다, 업계 최초 ‘AI 대출예측서비스’ 출시

트렌드

N번의 폐업, N+1번째 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