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ategorized

구글, 한국 정부 보안 요구사항 수용…국내 기업과 파트너십 강화

크리스 터너(Cris Turner) 구글 대외협력 정책 지식 및 정보 부문 부사장

구글이 한국 정부의 보안 관련 요구사항을 수용하고 국내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구글은 9일 서울에서 지도 서비스 관련 간담회를 열고, 티맵모빌리티, 에스피에이치(SPH) 등 국내 파트너사들과 협력을 지속하겠다고 발표했다. 또한 한국 정부의 안보 관련 요구사항도 수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크리스 터너 구글 대외협력 정책 지식 및 정보 부문 부사장은 “구글은 한국에서 구글 지도의 기능 구현을 위한 지도 데이터 반출 신청과 관련해 제기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한국 정부와 협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위성 이미지 속 보안 시설을 가림 처리하는 것에 더해, 한국 영역의 좌표 정보를 구글 지도의 국내외 이용자들 모두에게 보이지 않도록 하라는 한국 정부의 요구사항을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터너 부사장은 “구글은 국토부 및 국토지리정보원 등과 꾸준히 소통해왔다”며 “한국 이용자들에게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라남도, 경상북도 등 지자체 및 연세대·아주대 등 학술기관과도 MOU를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도 서비스 관련 오해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구글이 정부에 반출을 신청한 지도는 국토지리정보원이 제작한 ‘1:5,000 국가 기본도’로, 이는 한국 정부가 이미 민감한 군사·보안 정보를 제외하고 제공한 데이터”라고 강조했다.

위성 이미지 관련 우려에 대해서는 “구글이 보유한 위성 이미지는 이번 반출 신청 대상인 국가 기본도와 무관하며, 전 세계 여러 상업 이미지 공급업체들로부터 구매한 자료”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구글은 한국 정부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지도 및 구글 어스에서 민감 시설에 대한 가림 처리 등 추가 보안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구글 지도 국내 파트너사 에스피에이치(SPH)의 소광진 대표이사는 “구글 지도 파트너로서, 당사는 한국 공간정보 산업의 글로벌 확대를 위해 구글과 협업할 경험과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터너 부사장은 한국정보통신산업연구원 이호석 연구원과 호서대학교 곽정호 교수의 ‘디지털 지도 데이터 개방이 첨단산업의 경제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 논문을 인용했다. 해당 연구에 따르면 지도 데이터 반출을 허용할 경우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약 18조 4천 600억원의 누적 매출이 추가 발생하고, 공간정보 산업의 연평균 매출 성장률은 12.49%, 고용 성장률은 6.2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기자 /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전달하며, 다양한 세계와 소통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 I want to get to know and connect with the diverse world of start-ups, as well as discover their stories and tell them.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이벤트 스타트업

한국 앱·게임 스타트업 15곳, 구글 본사서 미국 시장 진출 전략 학습

이벤트 트렌드

AI 마케팅 시대, 퍼널의 죽음과 새로운 기회

이벤트 트렌드

구글 고위 임원 “한국, AI 시대 세계 선도할 독보적 역량 보유”

이벤트 스타트업

한국 스타트업과 함께 한 10년, AI로 여는 새로운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