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차봇 모빌리티, 몽골 시장 진출 추진…현지 특화 디지털 인프라로 공략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 차봇 모빌리티가 TS한국교통안전공단의 ‘2025년 TS 몽골 보이저(Voyager) 동행 프로젝트’에 참여해 몽골 시장 진출을 위한 활동을 전개했다고 10일 밝혔다.

9월 6일부터 4일간 몽골 현지에서 진행된 이 프로젝트는 중소벤처기업부의 ‘2025년 제1차 대·중소기업 동반진출 지원사업’ 선정과제다. 차봇 모빌리티는 총 13개 국내 벤처·중소기업 중 하나로 참여했다.

차봇 모빌리티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EV 미니트럭, 자동세차 시스템, 중고차 인증 솔루션, 자동차 검사 디지털화 SaaS 등을 포함한 통합 모빌리티 솔루션을 현지에 소개했다. 회사는 단순한 제품 공급을 넘어 EV 조립, 정비, 검사, 인증까지 확장 가능한 산업 현지화 모델을 제시했다.

차봇 모빌리티는 국내에서 72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B2C 차량 관리 앱 ‘차봇’과 1천여 개 정비·딜러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EV 공급과 인프라 설비, 디지털 운영 시스템을 통합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몽골은 인구 350만 명에 차량 등록 수가 140만 대를 넘는 높은 보급률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정비·검사·세차·인증 등 기본 인프라가 부족한 상황이다. 수입 차량의 80% 이상이 일본산 우핸들 차량으로 도로체계와 맞지 않아 사고 위험이 크다는 지적도 있다.

또한 중고차 품질을 보증할 제도가 부재하고, 혹한의 기후와 열악한 세차 인프라가 운전자들의 불편을 가중시키고 있다. 차봇 모빌리티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자사 제품과 서비스를 제시했다.

프로젝트 기간 중 열린 ‘K-모빌리티 밋업데이’에서 현지 반응도 나타났다. 몽골 교통안전청 관계자는 “현재 몽골이 직면한 교통안전 문제와 환경 개선 과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통합 솔루션”이라며 관심을 표명했다.

현지 물류기업들은 EV 미니트럭의 저온 환경 적응력과 경제성에 주목하며 협의 의사를 밝혔다. 세차장 운영 기업들도 자동화 장비를 통한 겨울철 서비스 안정성 확보에 긍정적 반응을 보이며 도입 검토 의사를 나타냈다.

차봇 모빌리티는 지난해 몽골 현지 기업 오토랜드와 협약을 맺고 K-중고차 수출 사업을 진행해왔다. 이번 보이저 프로젝트는 기존 사업에서 EV와 차량 관리 인프라까지 영역을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강성근 대표는 “몽골 보이저 프로젝트는 차봇이 단순한 제품 수출을 넘어 플랫폼 기반 산업 모델을 현지에서 실증한 첫 사례”라고 말했다. 그는 “몽골은 자동차 시장이 성장하는 동시에 제도와 인프라 개선 여지가 많아 차봇의 데이터와 플랫폼 역량이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는 지역”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몽골뿐 아니라 일본과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차봇의 경쟁력을 입증하며 확장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차봇, ‘내 차 구매’ 서비스 전면 리뉴얼, 클릭 한 번으로 맞춤 상담

스타트업

널담, 몽골 시장 진출…K-디저트 열풍 예고

트렌드

[기고] 빠르게 성장하는 몽골 창업 생태계에서 한국이 배울 점

스타트업

[스타트업 단신] 브리즘, 크림, 머니스테이션, 차봇 모빌리티, 구름, 프리윌린, 마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