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KBW2025: IMPACT’ 역대급 규모로 성료

아시아 블록체인 행사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2025(KBW2025)’의 메인 컨퍼런스 ‘KBW2025: IMPACT’가 이틀간의 일정을 마쳤다. 웹3 에코시스템 빌더 팩트블록이 주최한 이번 행사는 23일부터 24일까지 서울 광장동 워커힐 호텔앤리조트에서 진행됐다.

주최 측에 따르면 연인원 2만8000명이 참가했으며, 이 중 외국인 비율은 35%였다. 이는 작년 대비 76% 증가한 수치다.

전시 부스는 작년 60여 개에서 올해 110여 개로 확대됐다. 서울 전역에서 450개 이상의 사이드 이벤트가 동시에 열렸으며, 전 세계 5200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했다고 주최 측은 설명했다. 대한민국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이 공동 주최했다.

이번 행사는 수이 스테이지, 스테이블 스테이지, 제로지(0G) 스테이지, 비댁스 우리은행 인스티튜셔널 스테이지 등 4개 무대에서 300여 명의 스피커가 참여해 130여 개 세션을 진행했다.

팩트블록은 내년부터 메인 컨퍼런스 명칭을 ‘KBW: IMPACT’에서 ‘KBW’로 변경한다고 발표했다. 전선익 팩트블록 대표는 “KBW는 더 이상 IMPACT라는 부제 아래 열리는 행사가 아니다”라며 “KBW 자체가 글로벌 브랜드이고, 세계 블록체인 생태계의 상징”이라고 말했다.

이번 행사에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장남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와 차남 에릭 트럼프가 참석했다. 에릭 트럼프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 공동창업자는 영상 축사에서 “한국은 다른 국가보다 가상자산에 대한 관심이 크고 법·제도를 빠르게 정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 아메리칸 비트코인 공동창업자는 온라인 패널 토론에서 “불과 3개월 전만 해도 비트코인을 ‘사기’라고 주장하던 글로벌 대형 은행 중 일부는 지금 수십억 달러 규모의 비트코인을 사들이고 있다”고 언급했다.

컨퍼런스 파트너 수이(Sui)의 아데니이 아비오둔 공동창업자 겸 CPO는 차세대 데이터 가용성 프로토콜 ‘월러스(Walrus)’를 소개했다. 그는 “월러스는 블록체인 확장성과 데이터 보존성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접근”이라며 “한국 개발자 커뮤니티가 이를 활용해 글로벌 레퍼런스를 만들어 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미국 백악관 출신의 보 하인스 테더 USAT CEO는 올해 4분기 정식 출시 계획을 발표했다. 그는 “USAT를 통해 누구나 안전하고 합법적인 디지털 달러를 일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이클 하인리히 0G 공동창업자는 파이어사이드 챗에서 블록체인과 AI의 융합으로 확장 가능한 인공지능 생태계를 형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공개한 모듈형 AI 운영체제와 데이터 가용성 관련 기술을 사례로 들어 0G가 차세대 탈중앙 AI 인프라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 타이틀 스폰서로는 아메리칸 비트코인, 피크(peaq), 해크VC(Hack VC), 가이아(Gaia), 스페이스코인(Spacecoin), 도지OS(DogeOS), 톤(TON) 및 톤 스트래티지(TON Strategy Co.), 오르브트(ORBT) 등이 참여했다.

전선익 팩트블록 대표는 “KBW2025: IMPACT를 통해 블록체인과 AI의 접점, 그리고 실물경제로의 확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한국이 글로벌 블록체인 중심지임을 다시 한 번 보여줬다”고 말했다.

스타트업에 필요한 실질적인 지식을 공유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Minjung Kim is a Manager of Platum.
She will try to share practical knowledge necessary for startup.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이벤트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2025’ 메인 컨퍼런스 개막

투자

2025년 8월 스타트업 투자시장, AI·딥테크·블록체인 분야가 주도

이벤트

두나무 UDC 2025, 글로벌 블록체인 리더들 한자리에…에릭 트럼프 참여

트렌드

[법무법인 비트 TIP] NFT를 넘어서, NMFT 시대의 디지털 원본과 그 법률적 쟁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