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하이퍼리즘, 탈중앙화 대출 플랫폼 ‘와일드캣 파이낸스’에 전략투자

가상자산 금융 서비스 기업 하이퍼리즘(Hyperithm)이 탈중앙화 신용 대출 프로토콜 와일드캣 파이낸스(Wildcat Finance)에 전략적 투자를 했다.

하이퍼리즘은 전통 금융의 프라이빗 크레딧(Private Credit) 시장을 온체인(On-chain)으로 확장하는 와일드캣의 사업 모델을 평가해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와일드캣은 전통 금융의 사모 대출 시장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구현한 플랫폼이다. 담보 없이 유동성을 차입할 수 있으며, 차입자가 직접 한도와 이자율, 지급준비율 등 대출 조건을 설정하는 대출 시장을 개설할 수 있다. 투자자는 자신의 투자 전략과 리스크 성향에 따라 특정 시장을 선택해 참여한다.

현재 윈터뮤트(Wintermute), 엠버그룹(Amber Group), 키락(Keyrock), 하이퍼리즘 등 글로벌 마켓메이커와 운용사들이 차입 시장을 운영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이들이 제시하는 조건에 따라 특정 차입자 시장에 자금을 공급한다.

와일드캣은 기존 대출 시장과 구별되는 특징을 보인다. 은행 대신 차입자가 직접 대출 조건을 제시하고, 담보 없이도 신용 대출이 가능하다. 모든 조건과 거래 내역이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투명성과 실시간 검증이 이뤄진다.

와일드캣은 올해 2월 이더리움 메인넷에 V2 프로토콜을 출시한 후 현재까지 누적 약 5천억원(3억 6천만 달러) 상당의 신용대출을 처리했다. 이 중 약 2천억원(1억 4천만 달러)의 대출잔액을 유지하고 있다.

와일드캣은 2023년 크립토 인플루언서 로렌스 데이(Laurence Day)와 인덱스드 파이낸스(Indexed Finance) 창업자 딜런 켈러(Dillon Kellar)가 설립했다. 이번 50억원(350만 달러) 규모의 시드 라운드에는 하이퍼리즘 외에 트라이튼 캐피탈(Triton Capital), 폴리곤 벤처스(Polygon Ventures), 허머뉴틱 인베스트먼트(Hermeneutic Investments), 크로노스 리서치(Kronos Research)가 참여했다.

윈터뮤트 CEO 에브게니 가에보이(Evgeny Gaevoy)가 설립 초기부터 고문으로 합류해 와일드캣 팀을 지원하고 있다.

하이퍼리즘 이원준 대표는 “와일드캣은 전통 금융 시장의 사모 대출 시장을 탈중앙화 방식으로 구현해 금융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며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디파이 금융 생태계 발전을 함께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2018년 설립된 하이퍼리즘은 2022년 금융정보분석원(FIU)으로부터 가상자산사업자(VASP) 자격을 획득했다. 서울과 도쿄를 거점으로 사업을 운영하며 삼성, 카카오, 코인베이스 등으로부터 200억원 이상의 누적 투자를 유치했다.

하이퍼리즘은 디파이 분야 사업 확장을 진행하며 몰포(Morpho), 미다스(Midas) 등 글로벌 디파이 프로토콜과 협업하고 있다. 솔브 프로토콜(Solv Protocol), 이더 파이(Etherfi) 등 웹3 인프라에 대한 전략적 투자도 지속하고 있다.

기자 /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전달하며, 다양한 세계와 소통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 I want to get to know and connect with the diverse world of start-ups, as well as discover their stories and tell them.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업비트, ‘마켓 인사이트’ 정식 출시…투자 데이터 분석 서비스 제공

스타트업

빗썸, 트럼프 일가 운영 월드리버티파이낸셜과 맞손

스타트업

업비트, 홈페이지 전면 개편…데이터 중심 거래소 정체성 강화

트렌드

업비트-빗썸, 가상자산 거래소 앱 1·2위 굳건… 3위는 지표별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