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기 기업 전문 투자사 더벤처스가 ‘오픈형 투자요청서(Requests for Startups, RFS)’를 공식 도입했다.
RFS는 투자사가 관심 있는 분야와 우선 검토 대상을 공개적으로 안내하는 방식이다. 더벤처스는 지난 10월 결성한 100억원 규모 글로벌 K-소비재 펀드의 투자 집중 분야를 창업자에게 직접 공개했다.
더벤처스는 RFS 도입 배경으로 K-소비재 시장의 성장을 들었다. 2024년 K-뷰티 수출액은 102억달러(전년 대비 20.6% 증가), K-푸드는 130억달러(6.1% 증가)를 기록했다. 2025년 상반기 라이프스타일 분야 투자는 전년 대비 27.7% 증가한 1853억원으로 집계됐다.
더벤처스는 이번 RFS를 통해 4개 분야를 우선 투자 검토 대상으로 제시했다.
이성은 심사역은 ‘테크 기반 소비재’ 분야를 담당한다. 제품 개발과 판매 전략을 데이터 기반으로 설계할 수 있는 창업팀을 검토한다. PM·개발자 등 테크 출신 창업가가 테크 방식을 소비재에 적용하는 사례를 우선적으로 본다.
황성현 심사역은 ‘무슬림 여성 타깃 K-브랜드’를 검토한다. 2026년 10월부터 인도네시아에서 할랄 인증 제품만 판매가 허용되는 규제 변화, 히잡 착용 조건에서 발생하는 두피·피부 관리 니즈 등을 성장 기회로 판단한다. 모디스트 패션, 히잡 환경 메이크업, 두피·헤어 케어 등을 주목한다.
이은찬 심사역은 ‘K-두피’ 분야를 맡는다. 전 세계 성인의 절반이 비듬을 경험하고 탈모 고민도 증가하지만 카테고리는 여전히 단순하다. K-뷰티가 보유한 성분·제형 기술과 제조 인프라를 두피 시장에 적용해 스킨케어처럼 세분화된 루틴과 제품군으로 확장할 가능성을 본다.
조여준 파트너는 ‘IRL(In Real Life) 기반 오프라인 경험 설계’를 담당한다. 방탈출 카페 등 한국이 강점을 보여온 오프라인 콘텐츠의 확장성을 주목한다. 공간 구조와 동선을 중심으로 경험을 설계하고 이를 브랜드·엔터테인먼트·관광으로 연결할 수 있는 팀을 우선 검토한다.
김철우 대표는 “창업자가 투자사의 관심 분야를 미리 파악하기 어려운 기존 방식과 달리, 이번 RFS는 더벤처스가 실제로 집중하고 있는 투자 영역을 먼저 공개한 것에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술력과 브랜드 철학을 갖춘 팀이라면 분야와 시기를 가리지 않고 적극적으로 만나고 싶다”며 “글로벌 12개국 네트워크와 소비재 투자 경험을 바탕으로 창업팀의 글로벌 성장을 돕겠다”고 밝혔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