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해외직구 활성화에 따른 도·소매업 상표등록 대폭 증가

43641faf-c8e8-441c-9967-d8c4fb0effe4

스마트폰 및 인터넷으로 상품을 구매하는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됨에 따라 도·소매업관련 상표등록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에 따르면, 2015년 5월 현재, 특허청에 등록된 도·소매관련 상표는 74,000여 건에 달하며 작년에는 10,544건이 등록되어 2010년(3,817건) 대비하여 2.8배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이 보편화되기 이전에는 일반가게, 대형쇼핑몰 및 백화점 등을 이용하여 저렴하고 질 좋은 상품구매를 위해 발품을 팔아야 했으나, 365일, 24시간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품을 쉽고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이에 따른 도·소매관련 상표 등록이 급증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미 및 한·EU 등과의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체결국의 확대에 따른 상호 교역의 증가 및 교역규모의 확대와 더불어 미국의 아마존 및 중국의 알리바바 등 외국의 구매사이트를 통한 해외직구 증가 등에 따라 2010년 이후 외국의 도·소매관련 상표등록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2010~2015.5)간 우리나라에 등록된 도·소매관련 상표등록현황을 국가별로 살펴보면, 전체 41,811건 중 내국민 36,743건(87.9%), 외국의 경우 1위는 미국으로 1,223건(2.9%), 2위는 일본의 1,018건(2.4%) 이며, 중국은 261건(0.6%)(6위)으로 세계 경제대국(G2)으로 부상 및 한류 열풍에 힘입어 매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주요 업종별로 살펴보면, 의복 관련(14,474건), 가방·지갑류 관련(12,694건), 신발·우산류 관련(12,467건)으로 나타났다.

한편, 우리나라에 등록된 주요 국가의 도·소매관련 주요 업종별 등록현황을 살펴보면, 미국전기이 음향·통신·조명기구 관련(99건), 일본은 가방·지갑류 관련(139건), 신발·우산류 관련(138건), ▲중국, 시계 관련(23건)으로 나타났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트렌드

[BLT칼럼] 상표출원, 단 하루만 빨랐어도

스타트업

굿럭컴퍼니, 미국 상표분쟁 정면 대응

트렌드

[이음특허의 스타트업 특허 상표] 골프존 특허 침해한 카카오VX, 매각될 수 있을까?

트렌드

[BLT칼럼] LLM을 활용한 대규모 특허분석 프로젝트의 이상적인 형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