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신간] 스타트업을 스타트하는 전략 ‘권도균의 스타트업 경영 수업’

1

 “스타트업에게 필요한 것은 돈과 아이디어가 아니다. 스타트업이 성공하려면 ‘사업의 본질’에 다가서야 한다. “

길지 않은 스타트업 역사에서 성공 사례나 창업 매뉴얼을 다룬 책들은 여럿 있었지만, 대기업 위주의 경영에서 벗어나 한국의 스타트업 현실에 맞는 경영 전략을 다룬 책은 부재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스타트업 인큐베이터의 개척자이며 번개장터, 위트스튜디오, 데일리호텔, 텔레톡비, 온오프믹스, 스타일쉐어, 마이리얼트립 등 30여 개의 스타트업을 투자, 육성한 권도균 프라이머 대표가 스타트업 실전 노하우를 스타트에서부터 엑시트까지의 성공 전략 로드맵으로 담은 <권도균의 스타트업 경영 수업 – 스타트업을 스타트하는 최고의 실전 전략(이하 스타트업 경영수업)>을 출간했다.

스타트업 경영수업에는 ‘한국적 현실’ 속에서 성공하는 ‘대기업과 차별화된 스타트업만의 경영 전략’을 소개되고 있다. 저자는 10년간 창업 현장에서 발로 뛴 경험과 이후 5년간 30여 개의 스타트업을 인큐베이팅하여 깨달은 지혜, 3천 명 이상이 창업자와 예비창업자들과 함께 공부하며 정리한 자료들을 배경으로 담고있다.

정부 통계를 보면, 벤처기업 수는 올해 초를 기준으로 3만 개를 초과했다. 1998년2,042개에서 2006년 1만 2,218개, 2010년 2만 4,645개에 이르더니 올해 초에는 3만 21개로 그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창업 동아리 수도 2012년 1,222개에서 2013년 1,833개에 이르렀고, 2014년에는 2,949개로 전년 대비 60% 이상 증가하는 등 대학가의 창업 열기도 활발하다.

하지만 이러한 창업 활성화 현상 속에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성공하는 스타트업이 손에 꼽을 정도인 것은 물론이거니와 청년들이 창업을 진로 선택의 중요한 대안으로 고민하는 단계까지 이르기에는 청년 등의 기업가 정신이 미흡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한국에서 글로벌 스타트업이 나오지 않는 이유를 저자는 ‘경영’에서 찾는다. 창업자가 아이디어와 자본, 그리고 열정으로 사업을 시작할 수는 있겠지만 성장 과정에서 레벨 업을 하기 위해서는 거기에 걸맞는 경영자의 마인드와 경영 능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경영에 대한 공부가 부족하고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초기의 기대에 못 미치는 상황이 반복된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성공한 대기업의 경영 전략을 가져다 쓸 수도 없다. 글로벌한 외국 기업의 사례도 끌어다 쓸 수 없다. 바로 한국적 스타트업 환경 때문이다. 정부의 지원도 미비하고, 재벌과 대기업과의 상생도 힘든 척박한 상황을 이겨내고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창업자에게 기업가 정신이 절실하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이 책은 실패하지 않는 창업으로 가는 법, 성과를 만드는 법, 스타트업의 강력한 에너지를 발산하는 법, 차별화된 스타트업 마케팅 전략뿐만 아니라 협력자(직원)을 구하는 법, 조직을 이끄는 리더십, 생존이 최우선 과제인 스타트업 위기관리 등을 소개한다.

끝으로 저자는 사장의 윤리는 회사를 비추는 거울이라며, 사업의 본질에 다가설 것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왜냐하면 그곳에 성공이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도서 목차 

  • 강의를 시작하며
  • 제1강 문제는 경영이야, 바보야! _ 창업자에게 경영이 왜 중요한가?
  • 제2강 창업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_ 스타트업이 가르쳐주는 것들
  • 제3강 기업가 정신과 창업가 자질 _ 누가 스타트업 경영자가 되는가?
  • 제4강 스타트업은 아이디어에서 출발하지 않는다 _ 누가 실패하는 창업으로 가는가?
  • 제5강 흐르는 강물에 배를 띄워라 _ 창업했다면 성과를 만들어라
  • 제6강 지금, 당장 시작하라 _ 스타트업의 강력한 에너지
  • 제7강 이윤보다 고객을 사랑하라 _ 스타트업 마케팅 전략
  • 제8강 직원이 아닌 협력자를 구하라 _ 누구와 함께 어떻게 일할 것인가?
  • 제9강 실패로부터 배워라 _ 스타트업 경영자가 하지 말아야 할 것들
  • 제10강 지식의 배움에서 행동의 배움으로 _ 스타트업 경영자가 반드시 해야 할 것들
  • 제11강 비전보다 생존이 우선이다 _ 스타트업 위기관리
  • 제12강 성공이 기다리고 있다 _ 사업의 본질에 다가서라

 

기자 / 제 눈에 스타트업 관계자들은 연예인입니다. 그들의 오늘을 기록합니다. 가끔 해외 취재도 가고 서비스 리뷰도 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이벤트

“회사는 창업자 능력만큼 성장한다” ‘프라이머 데모데이’ 그리고 ‘고민 상담소’

트렌드

스타트업 생태계도 ‘부익부 빈익빈’… “쿠팡 상장, 한국 경제에 큰 변곡점 될 것 “

투자

프리미엄 농수산식품 유통 스타트업 ‘울타리USA’, 22억 시리즈A 투자유치…누적 40억 규모

Workinsight 이벤트 인터뷰 투자

[투자人사이트] 창업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초기투자회사 ‘프라이머’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