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어스랩은 11월 24일 원조 동영상 셀카앱 ‘롤리캠’이 출시 6개월만에 200만 누적 다운로드 수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5월 국내 안드로이드 버전 출시 이후 4개월 반 만에 100만 다운로드 달성한 시점으로부터 2개월도 채 되지 않아 대규모 마케팅 비용 없이 순전히 유저들의 입 소문만으로 이뤄낸 성과라는 것이 시어스랩의 설명이다.
11월 현재 기준으로 롤리캠의 월간 이용자수(MAU)는 전체 다운로드 수의 70%에 달하는 약 140만 명이며, 일일 이용자수(DAU)는 20%에 해당되는 40만 명이다.
특히 롤리캠으로 하루에 촬영되는 유저들의 컨텐츠는 약 200만개로 이 중 약 10%인 20만개가 주로 카카오톡, 라인 등의 메신저를 통해 매일매일 공유되고 있으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SNS로도 매일 약 1만 여개의 컨텐츠가 공유되고 있다.
롤리캠은 후보정이 필요 없는 400여개가 넘는 다양한 얼굴 인식 스티커와 시네마틱 이펙트로 누구나 손쉽게 독특한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사진 중심의 셀피 시장에 라이프스타일과 생동감 있는 영상 메시지까지 담아낼 수 있게 했다.
최근에는 SK와이번스, 스마일게이트, 비트윈, 언니의 파우치 등의 업체들과 제휴하거나 추석, 핼러윈, 수능 시험 스티커 등 시즌성 스페셜 스티커 또는 이팩트를 유저들이 즐길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유저들은 자발적으로 관련 동영상 컨텐츠들을 촬영하여 유통함으로써 서비스나 제품에 대한 친밀도가 자연스럽게 높아지는 새로운 형태의 바이럴 플랫폼(Viral Platform)으로써의 가능성도 확인하였다.
롤리캠은 9월말 iOS 버전 출시 이후 국내 전체 앱스토어에서 출시 당일부터 2주간 1위를 기록하였으며, 프로덕트 헌트(Product Hunt) 및 매셔블(Mashable) 등 해외 저명 미디어에서도 주목 받은 바 있다.
최근 미국, 일본, 중국 등의 해외 유저들의 사용도 함께 급증하고 있으며, 롤리캠 개발사인 시어스랩은 내년부터 각 지역별 컨텐츠와 해외 유저들이 요구하는 기능 등을 보강해서 본격적인 해외 시장 공략을 준비 중에 있다.
롤리캠 개발사인 시어스랩은 국내 대기업에서 모바일 카메라, 동영상, 뮤직 등의 뉴미디어 사업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전문가들이 중심이 되어 출발부터 글로벌 서비스를 지향하며 설립한 회사로 향후 롤리캠을 중심으로 다양한 컨텐츠가 융합되는 플랫폼으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또한, 시어스랩은 내년 상반기 중 롤리캠 2.0을 통해 보다 획기적인 기능 및 컨텐츠를 보강할 예정이며 현재까지 약 10여개의 관련 특허를 출원한 상태이다.
시어스랩의 정진욱 대표는 “최근 해외뿐 아니라 국내에도 많은 동영상 서비스가 생겨났지만 대부분이 만들어진 동영상의 유통에만 신경을 썼지 정작 유저들이 좀 더 손쉽게 모바일에서 동영상을 저작하게 해주는 환경 구축에는 소홀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향후 롤리캠이 다양한 동영상 유통 플랫폼과 유저들이 직접 저작한 생생한 동영상 컨텐츠들의 연결고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