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창조경제의 다음과제, 벤처 글로벌화

4a0d9745-4633-4225-b261-4a8f6420fc82

(사)창조경제연구회(이사장 이민화/KAIST 교수)는 ‘벤처기업의 글로벌화’를 주제로 정부, 기업, 학계 등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1월 26일(화) 오후2시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제23차 정기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창업활성화에 이은 글로벌화 정책을 제시하는 자리이다.

이민화 이사장은 초연결사회의 변화를 반영한 KCERN 글로벌 모델(KGM)을 제시하고 이와 관련된 6대 글로벌 기업전략과 6대 추진 정부정책을 제안했다. 6대 추진정책은 글로벌 키스톤, 글로벌 플랫폼, 현지화, 중견벤처 글로벌화, 본 글로벌 확산, 외국비용 경감 정책이다. 위의 정책으로 벤처기업의 8조 매출신장과 2만 4천명의 고용창출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김일섭 총장, 창조경제추진단 고형권 단장, 벤처기업협회 정준 회장, 창업진흥원 강시우 원장,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임정욱 센터장, 한양대학교 이상명 교수, 최다니엘 Y-Accelerator Founder가 패널로 참석했다.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김일섭 총장은 “기존의 획일적 정책에서 유형별 정책으로 전환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창조경제추진단 고형권 단장은 “글로벌 진출을 위한 글로벌 창업 허브를 구축하고, 국‧내외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글로벌 진출 지원의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발언했다.

벤처기업협회 정준 회장은 “벤처기업의 해외 진출 시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INKE 네트워크의 적극 활용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임정욱 센터장은 “1조 이상의 유니콘스타트업이 나오기 위해서는 한국시장에만 안주하지 않고 글로벌 시장에서 도전하는 스타트업이 더 많이 나와야한다”고 발언했다.

창업진흥원 강시우 원장은 “이제 단일기업 지원에서 협력 생태계 지원으로 전환을 추진하겠다”고 발언했다.

한양대학교 이상명 교수는 “혁신경제 체제로의 전환이라는 관점에서 벤처 글로벌화가 인식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글로벌 개방형 벤처정책으로의 전향적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최다니엘 Y-Accelerator Founder는 “글로벌을 위해서는 글로벌 클라이언트와 글로벌 기업들의 이해와 공감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지난 12월에는 앞으로 창조경제의 성공을 위하여 지난 3년간의 창조경제의 성과를 진단 및 관련 정책을 점검하고 창조경제의 성공을 위한 “창조경제의 8대 전략과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과제”라는 포럼을 개최하였으며, 오는 3월 29일(화)에는 “인공지능과 미래산업”을 주제로 공개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이벤트

기술개발·육성이 아닌 융합·활용의 관점으로 정책 전환 필요

이벤트

4차 산업혁명, 추격형 중앙집권에서 탈추격형 지방분권으로 전환해야

이벤트

국가 혁신을 논하다 … KCERN, 33차 공개포럼 개최

스타트업 트렌드

[신년기획] 벤처계 어른에게 2017년 창업 생태계를 묻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