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텐센트, ‘클래시오브클랜’ 제작사 수퍼셀 인수 계획

052316supercell1_1280x720

중국의 인터넷 기업 텐센트가 모바일 게임 ‘클래시오브클랜’의 제작사인 핀란드의 수퍼셀을 인수할 계획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텐센트는 최근 국제적 입지를 넓히기 위해 유럽의 대형 기업에 러브콜을 보낸 바 있다. 프랑스의 대형 광고사인 퍼블리시스(Publicis)와 루이뷔통(LVMH)이 각각 텐센트와의 파트너쉽 체결 건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테크크런치는 보도했다. 이번 수퍼셀 인수 역시 유럽권 진출을 위한 행보로 이해할 수 있다. 이번 건에 대해 수퍼셀과 텐센트 양측은 모두 정확한 입장 표명을 거부했다.

텐센트의 최근 관심사는 모바일 게임과 광고 사업이다. 2015년 마지막 분기에 텐센트는 총 14억 달러(한화 약 1조6,600억 원)의 수익을 올렸다고 발표했다. 이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 것이 게임과 광고로, 각각 16%, 43%의 매출 증가를 기록했다.

만약 인수합병이 체결될 경우, 텐센트는 국제 모바일 게임 시장 진입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텐센트는 현재까지 글루모바일(14.6%), 리그오브레전드의 제작사 라이엇게임스(인수), 미니클립 등 다양한 게임사에 투자해왔다.

수퍼셀 입장에서도 텐센트와의 인수합병은 중국 시장 진입을 위한 큰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수퍼셀은 기본적으로 무료로 게임을 제공하고 있으며, 인앱 결제를 통해 수익의 대부분을 창출해왔다. 텐센트가 웨이신페이 등을 통해 자체적으로 갖추고 있는 모바일 결제 인프라와 데이터가, 수퍼셀의 인앱 결제 시스템과 매끄럽게 결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챗, 큐큐 포털 등 텐센트의 방대한 광고 플랫폼을 기반으로, 수퍼셀의 수익 모델 역시 변화할 가능성이 크다.

한편 현재 수퍼셀의 최대 주주는 일본의 소프트뱅크로, 경영권은 여전히 창업자인 일카 파나넨(Ilkka Paananen)이 갖고 있다. 소프트뱅크는 2013년 약 15억3천만 달러(한화 약 1조8,200억 원)로 수퍼셀 지분의 51%를 취득했고, 이후 지분율을 73%로 올렸다.

그러나 텐센트와 소프트뱅크 간 대화는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하며, 알리바바를 비롯한 텐센트이 주요 경쟁자가 수퍼셀을 인수할 가능성도 있다고 주요 외신은 보도했다.

기자 / 영양가 있고 재미있는 스타트업 이야기를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Margot Jung is a Editor of Platum. She is covering the startups and also an member of the startup. She writes about news of startups and IT trends in Korea and China. She’ll do her best to convey information that can be helpful to entrepreneurs in a easy to read.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글로벌

[중국 비즈니스 트렌드&동향] 中 테크 거인들, AI 시대 항해 예고

투자 스타트업

메텍, 유라이크코리아 경영권 인수…글로벌 시장 공략 나서

스타트업

여성 건강 스타트업 ‘해피문데이’, 생리대 제조 공장 인수로 제조 내재화

투자

림피드, 동결건조 사료 생산 역량 강화 위해 전략적 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