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테크가 확산되면서 연 10조원 규모의 기업식대 시장이 스마트폰 앱 기반으로 빠르게 전환되는 추세다. 최근 아워홈이 식권 기능을 탑재한 전자지갑 서비스를 출시하며 구내식당 시장에 진출한 데 이어, ‘식권대장’이 업계 최초로 고객사 수 100개를 넘어서며 모바일 식권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것.
최근 기업용 모바일 식권 서비스 ‘식권대장’을 운영하는 O2O 푸드테크 기업 벤디스(대표 조정호)는 LS그룹 내 소비재부분 핵심 기업인 LS네트웍스 (대표 문성준)와 100번째 식권대장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식권대장의 고객사 수 100개 돌파는 2014년 9월 서비스 공식 론칭 이후 2년 6개월, 2016년 6월 고객사 수 50개 돌파 이후 8개월 만에 거둔 실적이다. 50개를 돌파하기까지 22개월이 소요됐지만, 이후 100개 돌파까지는 8개월 밖에 걸리지 않은 것. 이는 지난해 식권대장이 전년 대비 약 9배 규모의 폭발적인 성장을 이룬 데 따른 것으로, 식권대장 전체 고객사 중 84개가 지난해에 영입됐다. 식권대장의 2016년 말 기준 고객사 수는 95개, 2015년 말 기준 고객사 수는 11개였다.
고객사의 규모도 커졌다. 2015년까지는 스타트업과 중소중견기업의 비중이 높았지만, 2016년부터는 대기업 고객사의 비중이 급증하고 있는 것. 현재 한화그룹(한화시스템), SK그룹(SK플래닛), 현대중공업그룹(현대오일뱅크), 한솔그룹(한솔제지 등 4개 사), 한국타이어그룹(한국타이어 등 2개 사), 애경그룹(제주항공) 등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주요 그룹사의 계열사들에서 식권대장을 사용 중이다.
고객사 수 및 대기업 고객사의 증가에 따라 식권대장의 사용량도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 1월 말 기준 식권대장을 통한 누적 식대결제 건수는 212만1385건으로, 반기 별로 살펴보면 2014년 12월 말 기준 7629건, 2015년 6월 말 기준 9만 3798건, 2015년 12월 말 기준 39만 2717건, 2016년 6월 말 기준 101만 2127건, 2016년 12월 말 기준 195만 7560건이었다. 반기 6개월 단위로 평균 425%씩 증가한 것.
벤디스 측은 식권발행에서부터 식대결제에 이르는 모든 업무가 전산화되어 효율적이고 정확한 식대관리가 가능해지고, 부정사용이나 오남용 및 부정청구 등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투명화는 물론 비용절감 효과까지 거둘 수 있다는 점, 식당 및 메뉴 선택의 기회가 확대되어 임직원의 급식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 식권대장 전문인력이 계약 및 식대정산과 현장관리 등 식당 관련 업무 일체를 대행해줘 담당자의 업무가 경감된다는 점 등 식권대장 도입효과가 기업 총무담당자들 간에 확산된 것이 성장의 원동력이라고 보고 있다.
조정호 벤디스 대표는 “고객사를 대상으로 자체 조사를 진행한 결과, 식권대장 도입 후 평균적으로 식대는 12%, 담당자 업무량은 80%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식대 운영에도 ‘규모의 경제’ 원리가 적용되다 보니,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도입효과도 더 크게 나타나는 편”이라고 말했다.
2014년 1월 출발한 벤디스는 종이식권과 식대장부, 법인카드 기반의 아날로그 영역으로 남아있던 기업 식대관리 시장을 가장 먼저 발견하고 이를 스마트폰 앱 기반의 모바일 시스템으로 전환,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시장의 패러다임을 혁신시킨 퍼스트 무버(first mover) 기업이다.
Leave a Comment